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Close

출간 도서

도서 상세보기

뒤로가기
구제적 강도(현대어역본)
전낙청 선집 / 접경인문학 해외자료총서 002
저자 전낙청 역자/편자 황재문
발행일 2020.5.22
ISBN 9791159055249
쪽수 507
판형 신국판 반양장
가격 33,000원
서점 바로가기

전낙청(1876-1953)은 평안도 정주 출신의 1세대 재미 한인이다. 전낙청은 비록 유학생이나 한인회 지도자가 아닌 '평범한 이민자'로 농업 노동에 종사한 사람이지만, 총 8편의 소설과 6편의 논설을 남기며 조금은 특별한 삶을 보냈다. 이 선집에 실린 단편소설과 논설, 수필 속에는 전낙청의 미국에서의 삶이 고스란히 담겨 있으며, 작품의 배경으로 보아 1930년대 중반정도에 쓴 글로 추정된다.

발간사 ❙ 차용구 3

옮긴이의 말-잊혀진 작가 전낙청의 작품집을 펴내며 6


1 _ 소설

오월화五月花 25

구제적 강도救濟的强盜 66

삼각연애묘三角戀愛墓 278

실모지묘失母之猫 367


2 _ 논설 및 수필

경제적 열애經濟的悅愛 437

미주美洲 동포同胞들에게 올리는 글 447

인생관人生觀 456


해설-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공존 ❙ 전우형 485

‘평범한 이민 노동자’, 전낙청


전낙청(1876∼1953)은 평안도 정주 출신의 1세대 재미 한인이다. 1904년에 하와이로 노동 이민을 떠나 카우아이에서 일했으며, 1907년에 아내와 함께 아들 오베드, 조카인 프랭크와 제이콥을 이끌고 캘리포니아로 이주하여 오렌지 농장 등에서 일했다. (…중략…) 고향 땅을 떠날 때 장차 귀국할 생각이 있었는지는 분명히 알 수 없지만, 전낙청은 미국에서 생활하다가 삶을 마감했고 그 자녀들은 미국에서 성장하여 그곳에 삶의 터전을 마련하였다. 스스로 언급했듯이 ‘첫 세대 미주 한인’으로서의 평범한 삶을 살았던 것이다.


-옮긴이의 말 중에서


전낙청이 상상한 사랑


이 선집에 실린 소설들 중 「오월화」와 「구제적 강도」 두 편의 소설은 모두 한인 이민자 잭 전의 연애 이야기를 다루고 있으며, 「삼각연애묘」에도 역시 국제연애에 초점이 맞춰진 서사가 등장한다. 연애, 그중에서도 국제연애가 이야기의 중심에 놓인다는 것은 흥미로운 지점이다. 이 키워드는 이 소설이 식민지 조선과 미국 사이의 접촉과 교차를 시도하고 있음을 일러준다. 소설의 등장인물인, 어쩌면 전낙청의 주변 인물을 모델로 삼았을 가능성이 높은 ‘잭 전’의 연애관은 자유연애, 그중에서도 만국통혼(萬國通婚)․황백통혼(黃白通婚) 등 당시로서는 가장 극단적인 형태의 자유연애라 할 수 있다. 자유연애를 통한 근대적 자기 구원을 표방하는 이 소설은 이광수의

저자

전낙청

평안도 정주에서 태어나 1904년에 하와이로 노동 이민을 떠났으며, 1907년에 캘리포니아로 이주하여 오렌지 농장 등에서 일하였다. 캘리포니아에서 이민자로 생활하면서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다수의 소설과 논설을 쓴 것으로 추정되는데, 현재 8편의 소설과 6편의 논설이 간행되지 않은 채 필사본으로 남아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장편인 「홍경래전」, 「홍중래전」, 「부도」와 중단편인 「오월화」, 「구제적 강도」, 「삼각연애묘」, 「실모지묘」 등이 있다.


편역

황재문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부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장지연·신채호·이광수의 문학사상 비교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술로는 『안중근 평전』, 『만국사물기원역사』(역주), 『(가람)일기 1』(번역), 「두문동(杜門洞) 72현 일화 연구」, 「A Re-assessment of the Characteristics of Chang Hon’s Instructional Texts」 등이 있다.


황재문의 말

전낙청(1876∼1953)은 평안도 정주 출신의 1세대 재미 한인이다. 1904년에 하와이로 노동 이민을 떠나 카우아이에서 일했으며, 1907년에 아내와 함께 아들 오베드, 조카인 프랭크와 제이콥을 이끌고 캘리포니아로 이주하여 오렌지 농장 등에서 일했다. (…중략…) 고향 땅을 떠날 때 장차 귀국할 생각이 있었는지는 분명히 알 수 없지만, 전낙청은 미국에서 생활하다가 삶을 마감했고 그 자녀들은 미국에서 성장하여 그곳에 삶의 터전을 마련하였다. 스스로 언급했듯이 ‘첫 세대 미주 한인’으로서의 평범한 삶을 살았던 것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