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Close

출간 도서

도서 상세보기

뒤로가기
조선 연극과 무대미술 2
신극 진영 무대미술가를 포함하여
저자 김남석 역자/편자
발행일 2021.7.15
ISBN 9791159056161
쪽수 566
판형 신국판 무선제본
가격 33,000원
서점 바로가기

무대미술가 원우전을 중심으로 그의 행적이나 활동 경로를 추적하였다. 조선 연극의 핵심 인물인 원우전은 박진, 임선규와 함께 동양극장과 아랑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연극인이었고, 당대의 거의 모든 대중극단이 탐내는 최초의 전문 무대디자이너였다. 무대미술은 1911~1945년 시점의 조선 연극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이 책은 조선 연극 속에서 무대미술의 위상을 발견하고, 무대미술을 통해 조선 연극의 흐름을 살펴보고 있다.


제3장 정태성과 동양극장의 무대미술

1. 동양극장의 호화선 연구의 필요성과 목표

2. 동양극장 무대장치부

3. 정태성의 실체와 활동 영역 그리고 호화선과의 관련성

4. 무대 사진으로 재구하는 호화선 공연과 작품 개요

5. 1937~1938년 호화선 무대디자인을 통해 본 동양극장 무대미술의 장점과 미학

6. 호화선의 무대미술을 통해 본 1930년 조선(연극)의 무대미술

7. 배경으로서의 집과 동선으로서 무대를 디자인하는 동양극장의 무대미술


제4장 1930년대 신극 진영의 무대디자인과 그 흐름

1. 1930년대 극예술연구회의 무대디자인과 그 흐름

2. 극예술연구회의 무대미술가들-김정환, 황토수, 정현웅, 그리고 김일영

3. 함세덕의 어촌 희곡과 공연 무대

4. 동경에서 작품 활동과 무대디자인의 궤적


제5장 조선성악연구회와 창극의 무대

1. 조선성악연구회의 연원과 구성

2. 동양극장 공연 참여, 창극에 대한 재인식

3. 연쇄창극의 실험과 <배비장전> 도전

4. 1936년 9월 <춘향전> 공연의 실체와 연행사적 의의

5. <흥보전> 공연 양상과 흥보집의 기능

6. <심청전> 공연 양상과 집을 나서는 장면

7. <옥루몽>의 미학과 공연 무대


제6장 무대디자인으로 재구하는 1940년대 연극들

1. 김옥균 소재의 연극과 그 다양한 변이

2. 동양극장의 <아들의 심판>과 무대 배치


제7장 대중극과 신극 무대디자인의 맥락과 차이

왜 ‘무대미술’인가?

조선 연극의 핵심 인물인 원우전은 박진, 임선규와 함께 동양극장과 아랑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연극인이었고, 당대의 거의 모든 대중극단이 탐내는 최초의 전문 무대디자이너였다. 그의 활동 범위는 신극, 대중극, 친일(목적)극, 창극, 국극, 심지어는 영화에 이르기까지 방대한 분야였다. 남아있는 자료가 충분치 않은 가운데 접하게 된 원우전의 무대 스케치와 함께 줄줄이 꿰어나온 발굴 무대디자인 관련 자료들은, 대본과 겹쳐보고 당시 상황과 맞추어보면 조선의 연극에 대해 매우 중요한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디자인은 기본적으로 무대디자인 분야에서도 중요한 자료이지만, 조선의 연극 시스템을 이해하고 잃어버린 공연의 흔적을 찾는 유용한 단서이기도 하다. 이렇게 다방면에서 ‘원우전 무대 도면’은 관련 연구의 새로운 시각과 길을 열어주었다. 귀중한 무대미술 관련 자료는 잃어버린 연극, 사라진 공연의 촬영되지 않은 영상 자료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무대미술을 통해 조선 연극을 돞아보다

다방면에서 ‘원우전 무대 도면’은 관련 연구의 새로운 길을 열어주었으며 예전과는 다른 시각으로 무대미술을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그동안 자료가 없고 근거가 없다고 미루어두었던 작품들을 꺼내 그 작품의 실제 연극화, 무대 형상화에 대한 소견을 짚어낼 수 있었다. 희미하게 남은 도면, 스케치, 사진, 삽화는 공연을 반추할 수 있도록 해주었고, 나아가서는 연출가의 의도나 극작가의 공유 관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단서가 되었고, 방법이 되었고, 근거가 되었고, 확신이 되었다.

흥미로운 점은 무대미술(자료)은 조선 연극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지점을 점유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토월회도, 동양극장도, 극예술연구회도 이러한 범위에 모두 들어 있다. 이처럼 원우전은 토월회에서도, 동양극장에서도, 1940년대 연극에서도, 무대미술에서도, 심지어는 조선성악연구회에서도 늘 주요한 화두이자 주요 거론 대상일 수밖에 없었다. 이렇게 원우전에 대한 연구가 확대되면서, 그에 대해서 그리고 그의 무대미술에 대해서 접근할 수 있는 방법 역시 늘어나기 시작했다. 대중극 지점에 원우전이 있다면, 신극 진영에는 극예술연구회를 중심으로 한 일련의 신진 무대미술가가 포진되어 있었다. 그들에 대한 접근도 이 저술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이다.

조선의 연극과 무대미술은 상보적인 관계이기 때문에, 이 책에서는 이러한 관계를 보여 줄 방법을 함께 노출하고자 했다.

김남석

1973년 서울에서 출생하여 1992년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하였으며 이후 동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수학하였다. 1999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여자들이 스러지는 자리-윤대녕 론」이 당선되어 문학평론가가 되었고, 2007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경박한 관객들-홍상수 영화를 대하는 관객의 시선들」이 당선되어 영화평론가가 되었으며, 2003년 『조선일보』에 「숨어 있는 희망을 기다리는 두 사내」를 발표하면서 본격적인 연극평론 활동을 시작했다. 지금 부산에서 살고 있으며, 2006년부터 국립부경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재직하고 있다.

연극 관련 저서로 『오태석 연극의 미학적 지평』(2003), 『배우의 거울』(2004), 『한국의 연출가들』(2004), 『오태석 연극의 역사적 사유』(2005), 『조선의 여배우들』(2006), 『빛의 유적』(2008), 『조선의 대중극단들』(2010), 『연극의 역사와 스타일』(2010), 『조선의 연극인들』(2011), 『전위무대의 공연사와 공연미학』(2012), 『조선의 대중극단과 공연미학』(2013), 『부두연극단의 공연사와 공연미학』(2014), 『빈집으로의 귀환』(2016), 『조선의 지역 극장』(2018), 『조선 대중극의 용광로 동양극장(1~2)』(2018), 『현대희곡의 생성과 맥락』(2019), 『전북의 지역 극장』(2020) 등이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