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Close

출간 도서

도서 상세보기

뒤로가기

2022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현대 한국어 형성기의 새 국한혼용문의 등장과 그 변전
연세근대한국학총서 143
저자 한영균 역자/편자
발행일 2021.6.30
ISBN 9791159056222
쪽수 507
판형 신국판 양장
가격 35,000원
서점 바로가기

19세기 후반까지의 우리의 문자 생활은 사용자의 한문 문식력(文識力)에 따라 한문 혹은 한글만을 사용하는 이중 언어적 양상을 띠고 있었다. 그러던 것이 국어(국문)에 대한 인식이 새로워지면서 1890년대 이후에는 국한혼용문이 한문이 차지했던 자리를 대신하게 된다. 이때의 국한혼용문은 앞에서 이야기한 새로운 국한혼용문이다.


한편 20세기 말까지의 문자 생활은 현대의 국한혼용문이 주류였고, 오늘날에는 한글 전용 문화가 정착되었다. 그렇다면 대한제국기에 문어의 주류였던 새로운 국한혼용문과 20세기 말의 문어의 주류였던 현대의 국한혼용문은 과연 무관한 것일까? 그리고 한때 현대 국한혼용문이 문어 생활의 중심이었던 것은 한글 전용 문화의 정착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 이 책은 현대 국어의 문체 형성과 관련된 이러한 의문을 풀어 보려는 노력이다.

책머리에 3


제1부 현대 한국어 형성기 문체 분석의 틀

제1장 현대 한국어 형성기의 설정과 하위 구분 15

1. 현대 한국어 형성기의 언어문화사적 특징 15

2. 한국어 문체의 현대화 과정을 검토하기 위한 두 축 20

3. 태동기 문어 사용 양상의 특징 30

4. 환태기 초기의 문어 사용 양상 45

5. 마무리 53


제2장 언문일치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그 구현 59

1. 언문일치와 문체 현대화의 상관성 59

2. 근대 계몽기 지식인들의 언문일치에 대한 인식과 그 구현 64

3. 어휘 사용의 변화와 현대적 국한혼용문의 구현-신문 사설의 경우 80

4. 마무리 83


제3장 문체 현대화의 한 변인-한글 전용과 국한 혼용 85

1. 서사방식書寫方式과 문체의 상관성 85

2. 서사 방식, 글갈래, 독자와 문체 변이 92

3. 태동기 한국어 문장의 혼효성 극복과 어휘의 변화 100

4. 서사 방식에 따른 어휘적 준거 사용 양상 대조 분석 123

5. 마무리 127


제4장 국한혼용문의 현대화와 단음절 한자 용언의 사용 양상 변화 131

1. 논의를 시작하면서 131

2. 검토 대상 국한혼용문의 범위 한정 135

3. 문체 현대성 판별 준거의 추출 141

4. ‘단음절 한자+하()-’형 용언 사용 양상의 변화 146

5. 마무리 157


제2부 태동기 국한혼용문의 문체

제5장 <서유견문>의 문체 특성과 태동기 국한혼용문 문체 연구의 방향 161

1. 태동기 국한혼용문 연구의 방향성 161

2. <서유견문> 문체 연구사 검토 164

3. <서유견문>의 문체 특성 180

4. 태동기 국한혼용문의 연구과 코퍼스 분석 202

5. 마무리 208


제6장 태동기 국한혼용문의 유형, 문체 특성, 사용 양상 211

1. 태동기 국한혼용문 연구의 방향성 211

2. 국한혼용문의 유형별 문체 특성 분석을 위한 몇 가지 전제 213

3. 유형별 문체 특성 219

4. 태동기 국한혼용문의 사용 양상과 관련된 문제 243


제7장 <서유견문> 용언류의 분포와 구성 247

1. 태동기 용언류 분석과 <서유견문> 247

2. 고유어 용언의 유형과 특징 250

3. 단음절 한자 용언의 용법과 특징 257

4. 2음절 한자어 용언의 용법과 유형 267

5. 3음절 한자어 용언의 용법과 유형 275

6. 4음절 한자어 용언의 용법과 유형 281

7. ‘-이-’계 술어구의 용법과 그 특징 286

8. 용언류 분석의 결과와 그 함의 289


제8장 국한혼용문 텍스트와 순한글 텍스트 공존의 한 양상 295

1. 번역물에 있어서의 국한혼용문 텍스트와 순한글 텍스트 295

2. 태동기 다중 번역 서사물의 서지ㆍ번역 저본ㆍ문체 300

3. 논의 결과의 활용 방안 339


제9장 태동기 국한혼용문의 문체 통합 341

1. 문체 통합을 논의하기 전에 341

2. <대한매일신보> 사설의 문체 통합과 그 방향 344

3. <서유견문>과 <대한매일신보> 사설의 용언 용법 비교 355

4. 문체 통합의 방향성 360


제3부 국한혼용문의 현대화 과정

제10장 국한혼용문의 현대화 과정에 대한 시론 365

1. 논의의 목적 365

2. 태동기 국한혼용문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367

3. 태동기 국한혼용문의 현대화 과정 372

4. 국한혼용문 현대화의 유인 380

5. 논의의 요약 386


제11장 환태기 중기 국한혼용문의 문체 특성 389

1. 환태기 중기 국한혼용문을 살피는 까닭 389

2. 대한제국 말기 국한혼용문의 문체 특성의 계승 392

3. <동아일보> 1920년 사설에서의 어휘 현대화 402

4. <동아일보> 1920년 사설의 문체사적 위상 426

5. 논의의 요약 430


제12장 현대적 국한혼용문의 출현 및 확산 433

1. 환태기 국한혼용문을 살피는 까닭 433

2. 1920년∼1940년 사설 텍스트의 현대성 판별 438

3. 신문 사설에서의 현대적 국한혼용문의 출현 및 확산의 배경 449

4. 논의의 요약과 남은 문제들 457


제13장 국한혼용문의 현대화와 보조 용언 구성의 변화 463

1. 왜 보조 용언 구성을 살피는가 463

2. 국한혼용문에서의 용언류의 사용 양상 분석 469

3. 보조 용언류 사용의 확대 양상 475

4. 한문구 용언에서의 보조 용언의 한자화와 그 현대화 과정 484

5. 논의의 요약 489


<부록> <서유견문>의 편과 장 구성 및 약호 491

참고문헌 492

초출일람 505

간행사_ 근대 한국학총서를 내면서 506

한글과 한문, 한국어를 이루는

이중 언어적 문체를 분석하다


19세기 후반까지의 우리의 문자 생활은 사용자의 한문 문식력(文識力)에 따라 한문 혹은 한글만을 사용하는 이중 언어적 양상을 띠고 있었다. 그러던 것이 국어(국문)에 대한 인식이 새로워지면서 1890년대 이후에는 국한혼용문이 한문이 차지했던 자리를 대신하게 된다. 이때의 국한혼용문은 앞에서 이야기한 새로운 국한혼용문이다. 한편 20세기 말까지의 문자 생활은 현대의 국한혼용문이 주류였고, 오늘날에는 한글 전용 문화가 정착되었다. 그렇다면 대한제국기에 문어의 주류였던 새로운 국한혼용문과 20세기 말의 문어의 주류였던 현대의 국한혼용문은 과연 무관한 것일까? 그리고 한때 현대 국한혼용문이 문어 생활의 중심이었던 것은 한글 전용 문화의 정착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

이 책은 현대 국어의 문체 형성과 관련된 이러한 의문을 풀어 보려는 노력이다.

제1부에서는 현대 국어가 형성된 시기의 문체 변화를 살피는 데에 축(軸)이 될 만한 요소를 살핀다. 현대 한국어 형성기의 설정(제1장), 언문일치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국한혼용문의 현대화(제2장), 국한 혼용과 순한글이라는 서사방식(書寫方式)과 문체 현대화의 상관성(제3장), 단음절 한자어 용언의 사용 양상을 통해 본 문체 변화(제4장) 등 문체 현대화를 관찰하는 데에 각각이 축(軸)이 될 수 있다고 보고, 그것을 실제로 적용해 살핀 것이다.

제2부에서는 새 국한혼용문을 사용한 대표적인 저작인 <서유견문>을 중심으로 대한제국기 국한혼용문의 특성을 살피는 한편, 대한제국기에 쓰인 여러 유형의 국한혼용문이 궁극적으로 하나로 통합되어 현대의 국한혼용문으로 변전하는 토대를 마련하였음을 확인한다.

<서유견문>의 문체 분석(제5장), 대한제국기 국한혼용문의 유형별 특징(제6장), 새 국한혼용문의 용언구 구성 방식(제7장)를 다룬 부분이 한 덩어리를 이룬다고 할 수 있을 것이고, 태동기와 환태기 초기의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국한혼용문 텍스트와 순한글 텍스트의 공존을 보여주는 자료에 대한 검토(제8장)는 국한혼용문과 순한글이 대한제국기까지는 각각 서로 다른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었음을 확인한 것이고, 국한혼용문의 문체 통합(9장)은 대한제국 말기에 이르러 새 국한혼용문이 현대의 국한혼용문으로 변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것을 <대한매일신보> 사설을 분석하여 확인한 것이다.

제3부에서는 대한제국기에 주류였던 새로운 형식의 국한혼용문이 현대의 국한혼용문으로 변전되는 과정을 살폈다. 현대화 과정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실제 신문 사설을 바탕으로 그 가설을 확인했고(제10장), 1920년의 신문 사설이 1910년부터 1920년까지의 공백에도 불구하고 1910년의 신문 사설이 보여주는 문체 특성을 전승하면서 문체 현대화를 위한 방향성을 확보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한편(제11장), 창간 후 20여 년 사이의 동아일보 사설 전체를 대상으로 현대적 국한혼용문이 등장한 시기를 확인하고 그 함의를 살폈다(제12장). 마지막으로 1910년, 1920년, 1935년의 신문 사설에서 보조 용언 구성이 현대화하는 과정을 살펴하여 국한혼용문의 현대화가 환태기(일제강점기) 전반에 걸쳐 점진적으로 진행된 것을 확인하였다(제13장).

한영균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ㆍ박사학위를 받았다. 울산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교수로 재임 중이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 중앙연구원) 방언 조사원, 대한민국 학술원 전문위원, 한국정신문화 연구원 초빙교수, 동경 외국어 대학 초빙 연구원, 대만 국립정치대학 교환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국어사, 국어정보학, 사전학 등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다가 최근 10여 년은 근대 계몽기의 국한혼용문 및 현대 한국어 형성 과정을 살피고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