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Close

출간 도서

도서 상세보기

뒤로가기
황정견시집주 2
저자 황정견 역자/편자 박종훈, 박민정, 이관성
발행일 2024-08-15
ISBN 979-11-5905-916-2 (94820)
쪽수 484
판형 152*223 양장
가격 37,000원
서점 바로가기

송시다운 시가 시대, 그 중심에 있던 황정견

송나라는 개국(開國) 왕조인 태조부터 인종조(仁宗朝)를 거치면서 만당(晩唐)·오대(五代)의 장기간 혼란했던 국면이 정리되어 나라가 안정되었고, 백성들의 생활환경 또한 비교적 안정을 찾게 되었다. 전대(前代)의 가혹했던 정세가 완화됨에 따라 농업이 급속도로 발달하였고, 안정된 농업의 경제적 기초 위에서 상공업이 번창하고, 번화한 도시가 등장하는 등 사회 전반에 걸쳐 전대에 비해 상당한 풍요를 구가하게 되었다. 이처럼 사회 전체가 안정되고 발전함에 따라 일반 백성들은 단조로운 것보다 복잡하고 화려한 것을 추구하게 되었다. 시대적·사회적 환경은 곧 문학 출현의 배경이고, 문학은 사회생활이 반영된 예술이라고 할 만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유협(劉勰)이 “문학의 변천은 사회 정황에 따르다[文變染乎世情, 興廢繫乎時序]”고 한 것처럼, 사회의 각종 요인은 문학적 현상을 결정하기 때문에 이러한 요소의 변화는 필연적으로 문학 풍조의 변혁을 동반한다. 송초 시체(詩體)의 변천은 이러한 사실을 보여주는 객관적인 증거이다. 특히 송대에는 일찍부터 학문이 중시되었다. 이는 주로 군주들의 독서열과 학문 제창으로 하나의 사회적 풍조로 자리 잡게 되어 송대의 중문중학(重文重學)적 분위기가 마련되었다. 

황정견은 바로 이때 전성기를 구가하여 북송(北宋)을 대표하는 시인이다. 중국시가의 최고 전성기라 할 수 있는 당대(唐代)를 뒤이어 등장한 북송의 시인들에게는 당시에서 벗어난 송시만의 특징을 만들어 내야 하는 일종의 숙명이 있었다. 이러한 숙명은 북송 초 서곤체에 의해 시도되었으며 북송 중기에 이르러 비로소 송시다운 시가 시대를 풍미하기에 이르렀다. 황정견이 그 중심에 있었다. 

 

후대까지 영향을 미친 황정견의 시론

황정견은 시를 지을 때 시의 표현을 다지고 시법을 엄격히 지켜 한 마디 한 글자도 가벼이 쓰지 않았다. 황정견은 수많은 대가들을 본받으려고 했지만, 그중에서도 두보(杜甫)를 가장 존중했다. 황정견은 두보 시의 예술적인 성취나 사회시(社會詩) 같은 내용 측면에서의 계승보다는, 엄정한 시율과 교묘(巧妙)한 표현 등 시의 형식적 측면을 본받으려 했다. 황정견 시론의 요점을 정리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첫째, 시의 조구법(造句法)으로서의 환골법(換骨法)과 탈태법(奪胎法)이다. 이에 대해 황정견은 “시의 의미는 무궁한데 사람의 재주는 한계가 있다. 한계가 있는 재주로 무궁한 의미를 좇으려고 하니, 비록 도잠과 두보라고 하더라도 공교롭기 어렵다. 원시의 의미를 바꾸지 않고 그 시어를 짓는 것을 환골법이라고 하고, 원시의 의미를 본떠서 형용하는 것을 탈태법이라고 한다[詩意無窮, 而人才有限. 以有限之才, 追無窮之意, 雖淵明少陵, 不得工也. 不易其意而造其語, 謂之換骨法. 規摹其意而形容之, 謂之奪胎法]”(『시인옥설(詩人玉屑)』)라고 한 바 있다. 이로 보건대, 황정견이 언급한 환골법은 의경을 유사하게 하면서 어휘만 조금 바꾼 것을 일컫고, 탈태법은 의경을 변형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진부한 표현이나 속된 말을 배척하고 특이한 말과 기이한 표현을 추구했다. 구체적으로는 술어를 중심으로 평이한 글자를 기이하게 단련(鍛鍊)시켰고 조자(助字)의 사용에 힘을 특히 기울였으며, 매우 궁벽하고 어려운 글자를 사용했고 기이한 풍격을 형성하기 위해 전대(前代) 시에서 잘 쓰지 않던 비속(非俗)한 표현을 시어로 구사하여 참신한 의경을 만들어내곤 했다. 

셋째, 전고(典故)의 정밀한 사용을 추구했다. 이는 황정견 시론의 “한 글자도 유래가 없는 것은 없다[無一字無來處]”와 연관된다. 강서시파는 독서를 중시했는데, 이것은 구법의 차원에서 전대 시의 장점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지만, 이는 전고의 교묘(巧妙)한 활용이라는 결과로 표현되기도 했다. 그러면서 전인의 전고를 그대로 답습하지 않고 자신의 의도에 맞게 변용했다.

이와 같은 황정견의 창작법에 대해 부정적 평가도 적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부정적 평가는 황정견 시의 파급력에 대한 반증이기도 하다. 황정견을 중심으로 한 강서시파가 당대(當代)는 물론 후대 및 조선의 문인들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황정견의 시를 세밀히 소개하다

황정견은 현존하는 가장 공신력 있는 중화서국(中華書局)본에 따르면 총 1,916수의 시 작품을 남겼다. 북경(北京) 중화서국(中華書局)에서 2007년에 출간한 전 5책의 『황정견시집주』에는 총 1,260제(題) 1,916수(首)의 시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황정견 작품의 구절 및 시어(詩語) 하나하나가 갖는 전례와 창작배경 그리고 구절의 의미 및 전체적인 의미를 상세하게 주석을 통해 소개해, 황정견 작품의 세밀한 이해를 돕고 있다. 이 책에서는 『황정견시집주』에 소개된 모든 주석을 꼼꼼하게 번역하였으며, 주석의 내용을 시의 자구(字句) 해석에 최대한 반영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황정견 시가 워낙 난해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주석이 시 본문과 어떤 연계성이 있는지조차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도 있었다. 이러한 경우에도 연결 관계를 최대한 찾아 시 본문 번역에 녹여내고자 노력하였다.

황정견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황정견 시 작품에 대한 전체적인 번역이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구체적인 실상의 일면만을 위주로 하거나 혹은 피상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이에 상세한 주석을 통해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는 『황정견시집주』에 대한 완역은, 부족하나마 후학들에게 황정견 시를 이해하기 위한 초석을 다지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해제

황진시집주서

 

황정견시집주

산곡시집주

산곡시집주권제사(山谷詩集注卷第四)

1. 장문잠이 무구에게 준 작품의 말미에 ‘이미 군자를 만났으니, 어찌 기쁘지 않으리오([旣見君子云胡不喜])’로 운자 삼은 것을 많이 보고서 받들어 화답하다(奉和文潛贈无咎篇末多以見及以旣見君子云胡不喜爲韻)

2. 차운하여 형돈부에게 답하다(次韻答邢惇夫)

3. 현동부의 추회에 화운하다. 10수( 邢惇夫秋懷. 十首)

4. 사공정이 이범의 「추회오수」에 화답하면서 나를 불러 함께 지었다(謝公定和二范秋懷五首邀予同作)

5. 경릉의 주부가 된 사공정을 전송하다(送謝公定作竟陵主簿)

6. 사공정과 영자옹이 적원규와 손소술의 시에 대하여 논한 장운에 받들어 화답하다(奉答謝公定與榮子邕論狄元規孫少述詩長韻)

7. 장숙화를 보내며 주다(贈送張叔和)

8. 하동으로 부임하는 고자돈을 전송하다. 3수(送顧子敦赴河東. 三首)

 

산곡시집주권제오(山谷詩集注卷第五)

1. 사마문정공만사. 4수(司馬文正公挽詞 四首)

2. 자첨의 「무창서산」에 차운하다(次韻子瞻武昌西山)

3. 자첨의 시구가 한 시대에 으뜸인데 이에 ‘정견의 시체를 모방한다’고 하였는데, 대개 한퇴지가 맹교와 번종사의 시체를 장남삼아 본받은 것과 비슷하니 글로 웃겨보려는 것이다. 그러나 후생이 제대로 알지 못할까봐 차운하여 실상을 말한다.(자첨이 양맹용을 전송하는 시에서 “우리 집은 아미산 북쪽으로 그대와 같은 고을이네”라 한 작품이 바로 이 시의 운자이다)(子瞻詩句妙一世, 乃云效庭堅體. 蓋退之戲效孟郊樊宗師之比, 以文滑稽耳. 恐後生不解, 故次韻道之(子瞻送楊孟容詩云, 我家峩眉陰與子同一邦, 卽此韻)

4. 전여 유굉은 자첨의 사위이다. 그 재덕이 매우 아름다워 학문에 뜻을 두었다. 그러므로 ‘도리불언하자성혜’ 여덟 글자로 시를 지어 주었다(柳閎展如子瞻甥也. 其才徳甚美, 有意於學, 故以桃李不言下自成蹊八字, 作詩贈之)

5. 장난삼아 납매를 읊다. 2수(戲詠蠟梅. 二首)

6. 납매(蠟梅)

7. 장중모에게 납매를 달라고 요청하다(從張仲謀乞蠟梅)

8. 가천석이 보배로운 향기를 보내주면서 시를 지어달라고 하기에 내가 ‘화려한 창 든 병사들의 호위 삼엄한데, 연회 열린 방에 맑은 향이 어렸네[兵衛森畫㦸燕寢凝淸香]’ 열 글자로 시를 지어 보답하였다(賈天錫惠寳薰乞詩, 予以兵衛森畫㦸燕寢凝淸香十字, 作詩報之)

9. 장중모의 「과포지사재」에 차운하다(次韻張仲謀過酺池寺齋)

 

산곡시집주권제육(山谷詩集注卷第六)

1. 상보가 14운의 「정묘설」을 보여주기에 삼가 같은 운을 써서 지었다(常父惠示丁卯雪十四韻謹同韻賦之)

2. 눈을 읊어서 광평공에게 바치다【송영조이다】(詠雪奉呈廣平公【宋盈祖】)

3. 송무종이 감천방에 세 살면서 눈 내린 뒤에 감회를 읊은 시에 차운하다(次韻宋懋宗僦居甘泉坊雪後書懷)

4. 자첨이 자유와 상보의 「억관중고사」에 화운한 시에 화답하다(和答子瞻和子由常父憶館中故事)

5. 쌍정차를 자첨에게 보내다(雙井茶送子瞻)

6. 자첨에게 화운하여 답하다(和答子瞻)

7. 자첨이 자하와 구명으로 희롱하기에 에오라지 다시 희롱으로 답하다(子瞻以子夏丘明見戱 聊復戯答)

8. 성 안에서 차를 끓이다가 자첨이 그리워 앞의 운자를 써서 짓다(省中烹茶懷子瞻用前韻)

9. 쌍정차를 공상보에게 보내다(以雙井茶送孔常父)

10. 상보의 답시에 “차 끓일 때 녹주가 번거로울 것이다[煎㸃徑須煩綠珠]”는 구가 있는데, 다시 차운하면서 희롱하며 답하다(常父答詩有煎㸃徑須煩綠珠之句 復次韻戯答)

11. 장난스레 공의보에게 올리다(戲呈孔毅父)

12. 사업 황종선이 혜산의 샘물을 보내준 것에 사례하다【종선의 이름은 ‘강(降)’이다. 다른 이름은 ‘은(隱)’이다】(謝黃從善司業寄惠山泉【從善名䧏, 一名隱】)

13. 유경문이 하상에서 보낸 시에 차운하여 화답하다(次韻奉酬劉景文河上見寄)

14. 여러 사람들이 「도미시」에 창화하는 것을 보고 나도 곧바로 차운하여 장난스레 읊었다(見諸人唱和酴醿詩輒次韻戲詠)

15. 진구가 진무기가 머물던 서원을 지나가다가 내가 지은 시구를 보고 지은 시에 차운하다(次韻秦覯過陳無己書院 觀鄙句之作)

16. 진류 저자의 은자【서문을 함께 싣다】(陳留市隱【并序】)

17. 조보지와 장뢰가 진구의 오언에 화답하기에 나도 또한 그 시에 차운하였다(晁張和答秦覯五言 予亦次韻)

18. 유회숙의 조하의 푸른 돌벼루를 읊다(劉晦叔洮河綠石硏)

19. 단차와 조주 녹석 벼루를 무구와 문잠이 주고받다(以團茶洮州綠石硯贈無咎文潛)

20. 왕중지가 조주의 숫돌과 도장 재료인 황옥을 보내주어 사례하다【중지의 이름은 흠신이다】(謝王仲至惠洮州礪石黃玉印材【仲至名欽臣】)

21. 문잠이 왕사인과 함께 기원(淇園)에서 노닐며 지은 시에 차운하다【왕사인의 이름은 역이며 자는 재원이다】(次韻文潛同遊王舍人園【王舍人名棫, 字才元】)

22. 도헌에 누워【원주에서 “조무구를 위해서 지었다”라고 했다】(臥陶軒【元注云, 爲晁無咎作】)

23. 조이도의 시에 차운하여 보내다【이도의 이름은 열지로 제북 사람이다】(次韻寄晁以道【以道名說之, 濟北人】)

24. 이도의 운자에 차운하여 자이와 자묵에게 보내다【정평, 정사다. 두 범씨는 문정공의 후손이다】(次以道韻 寄范子夷子黙【正平正思. 二范, 蓋文正公諸孫】)

25. 승려 경선이 방문하였기에 시를 지어 법왕항선사에게 보내다(僧景宣相訪 寄法王航禪師)

26. 자첨이 하북도운 고자돈은 전송하며 지은 시에 차운하다. 2수(次韻子瞻送顧子敦河北都運. 二首)

27. 자효사의 자돈을 전별하는 자리에서 공경보와 함께 짓다 (慈孝寺餞子敦席上奉同孔經父八韻)

28. 급사 장창언의 「희우」에 차운하다(次韻張昌言給事喜雨)

 

산곡시집주권제칠(山谷詩集注卷第七)

1. 이덕소가 서성으로 돌아가는 것을 전송하다(送李徳素歸舒城)

2. 이백시가 한간의 삼마도를 모사한 것을 읊어서 자유 소철(蘇轍)의 시에 차운하여 이백시에게 편지삼아 보내고 겸하여 이덕소에게 보내다(詠李伯時摹韓幹三馬次蘇子由韻簡伯時兼寄李德素)

3. 자첨 소식이 자유 소철의 「한간의 삼마도를 보고서 이백시가 천마를 그린 것을 논함」에 화답한 것에 차운하여 짓다(次韻子瞻和子由觀韓幹馬因論伯時畫天馬)

4. 차운하여 왕신중에 답하다(次韻答王眘中)

5. 자첨 소식이 작년 봄에 이영을 시립했고 자유 소철이 가을과 겨울 사이에 이어서 조정으로 들어갔는데 각자의 소회를 시로 쓴 것에 나 또한 차운하다. 4수(子瞻去歳春侍立邇英子由秋冬間相繼入侍作詩各述所懷予亦次韻. 四首)

6. 재차 차운하다. 4수(再次韻. 四首)

7. 자첨 소식의 「곽희가 산을 그린 것에 쓰다」에 차운하다(次韻子瞻題郭熙畫山)

8. 곽희의 산수화 부채에 쓰다(題郭熙山水扇)

9. 혜숭의 그림 부채에 쓰다(題惠崇畫扇)

10. 정방의 화집에 쓰다. 5수(題鄭防畫夾 五首)

11. 열 마리 참새가 날벌레를 잡는 그림 부채에 장난삼아 쓰다(戲題十雀捕飛蟲畫扇)

12. 공작 그림에 쓰다(題畫孔雀)

13. 잠자는 오리(睡鴨)

14. 작은 오리(小鴨)

15. 유장군의 기러기를 노래하다. 2수(題劉將軍鴈. 二首)

16. 유장군의 거위를 노래하다(題劉將軍鵝)

17. 조이도의 기러기 그림에 쓰다(題晁以道雪鴈圖)

18. 자첨 소식이 粥자의 운으로 쓴 「허물없이 여가의 대나무 그림을 얻어 그것에 쓰다」에 차운하여 人자운으로 장난삼아 놀리며 대나무를 읊다(次韻子瞻題無咎所得與可竹二首粥字韻戲嘲無咎人字韻詠竹)

19. 문잠이 휴가 가서 나오지 않은 것을 읊은 시에 차운하다. 2수(次韻文潜休沐不出. 二首)

20. 소식의 운을 받들어 지어 정국에게 부치다(奉同子瞻韻寄定國)

21. 왕정국이 양주에서 보낸 시의 운을 빌어 짓다(次韻王定國揚州見寄)

22. 지난해 「과광릉치조춘」 시를 지어 “봄바람이 십리의 주렴을 걷게 한 것은, 마치 두목의 삼생인 듯하네. 작약 가지 끝에 작은 꽃망울 피고, 양주의 풍물은 이와 같은데 귀밑머리는 실을 이루었네”라고 하였는데, 이번 봄에 회남에서 온 사람이 양주의 일을 이야기하기에 재미삼아 이전 시의 운으로 시를 지어 정국에게 부치다. 2수(徃歳 “過廣陵値早春”嘗作詩云, “春風十里珠簾卷, 髣髴三生杜牧之. 紅藥梢頭初繭栗, 揚州風物鬢成絲”今春有自淮南來者道揚州事, 戲以前韻/寄王定國. 二首)

23. 전목보의 「고려의 송선을 주자」 시를 차운하다(次韻錢穆父贈松扇)

24. 문잠 장뢰의 「전목보가 고려의 송선을 보내준 데 대해 사례하는 시」에 재미삼아 화답하다(戲和文潜謝穆父松扇戲和文潜謝穆父松扇)

25. 정굉중이 고려의 화선을 보내준 데 대해 사례하다. 2수 (謝鄭閎中惠高麗畫扇. 二首)


저자

황정견/ 북송(北宋)을 대표하는 시인

역자

박종훈 朴鍾勳, Park Chong-hoon
지곡서당(芝谷書堂)에서 한학(漢學)을 연수했으며, 조선대학교 국어국문학부(고전번역전공)에 재직 중이다.

박민정 朴玟貞, Park Min-jung
고려대학교에서 중국고전시 박사학위를, 중국저장대학(浙江大學)에서 대외한어교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세종사이버대학교 국제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관성 李灌成, Lee Kwan-sung
곡부서당에서 서암 김희진 선생에게 한문을 배웠다. 현재 퇴계학연구원에 재직 중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