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Close

출간 도서

도서 상세보기

뒤로가기
조선시보 번역집 2
저자 역자/편자 조강희 역
발행일 2023.06.10
ISBN 979-11-5905-702-1
쪽수 260
판형 152*223, 무선
가격 22,000원
서점 바로가기

일본인을 위한 일본어신문이 부산에서 발행되다

『조선시보』는 1894년 11월 21일부터 1940년 8월 31일까지 46년간에 걸쳐서 부산에서 발행된 일본어신문이다. 부산은 1876년에 체결된 강화도조약에 의해 같은 해에 개항하게 된다. 이후 1880년에 원산, 1883년에는 인천이 개항하였다. 청일전쟁과 그 후의 러일전쟁의 승전은 한반도에서 일본인들의 경제활동을 견고히 하였다. 강화도 조약 제10조 ‘개항장에서 일어난 양국인 사이의 범죄 사건은 속인주의에 입각하여 자국의 법에 의하여 처리한다’와 같은 보호 아래 정부관리, 언론인, 상인 등이 줄지어 내한하여, 지리적으로 가까운 부산에 많은 일본인들이 체류하게 되었다. 이들 대부분은 상업이나 무역에 종사하였다.

당시 조선은 일본의 전황 보도와 급격히 늘어난 일본인의 상업 활동을 보도할 목적으로 일본인에 의해 신문이 많이 간행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신문의 독자층은 일본인이었으며 대부분 상업 활동을 보도하는 상업신문으로 발간하였다.

부산에서도 부산과 인근의 상업 활동을 하는 일본인들의 근황을 보도할 목적으로 1892년 7월 11일에 일본어 신문인 『부산상황』이 발간되었다. 그 후 재정악화로 제호를 『동아무역신문』으로 바꾸는 등 활로를 모색하였지만 2년 후 휴간을 하게 된다. 이것을 1894년 7월 『한성신문』 사장인 아다치겐죠가 중심이 되고 재부산일본총영사인 무로타 요시후미, 부산상공회의소 회장인 사카키바라 시게오 등이 지원하여 1894년 11월에 『조선시보』라는 이름으로 제호를 변경하고 재발행하였다. 이 신문은 일본인이 다수 거주하고 있는 마산, 진주, 진해, 대구 등지에도 지국을 설치하였다. 이후 1941년에 통감부가 『남선일보』와 『조선시보』를 『부산일보』에 통합시킴으로써 폐간하게 된다.

『조선시보』도 타 신문들과 같이 일정 부분 일본의 정책을 옹호하고 선전하는 기관지의 성격도 띄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선시보』 기사에 대한 조사와 분석은 당시 일본인들이 한반도에서 상업활동을 한 실태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본의 한반도 식민지 정책의 실태와 변화 등을 엿볼 수 있다. 꾸준하게 게재되는 광고를 통해서도 병원, 신약, 잡화 등 근대 상업의 변모와 물가나 소비형태 등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기사를 통해 당시 교육 정책을 살피다

본 번역 해제집은 『조선시보』 기사 중 ‘교육’ 관련 기사에서 선별한 것이다. 교육 관련 기사는 조선에 거주하는 일본인 교육정책의 변화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민지 조선의 교육정책에 대한 실태와 변화를 엿볼 수 있다. 해제집의 편집은 『조선시보』 기사 중에서 교육 관련 기사를 모아서 목록을 제시하고, 중요한 기사 몇 개를 번역하여 모은 것이다. 교육관련 기사도 ‘조선교육’, ‘여성교육’, ‘식민지교육’, ‘공업교육’ 등 분야별로 분류하여 게재하였다.

책머리에 3


제1장 조선교육

01 조선인 교육 학교 311916년 7년 22월 5967호 91면 7단

02 조선의 교육에 관하여 321916년 8월 20일 91면 4단

03 조선의 교육 상태 351917년 10월 21일 6400호 1면 3단

04 부산 교육가에게 381917년 10월 25일 6404호 1면 1단

05 조선의 교육사업 411923년 6월 30일 8151호 2면 3단

06 조선인과 교육 431923년 8월 23일 8196호 1면 1단

07 경상남도 조선인 교육 461925년 5월 9일 8710호 2면 3단

08 조선의 교육계 481926년 1월 1일 8933호 1면 2단

09 조선의 교육비도 일본과 같이 국고에 요구하자 511927년 2월 17일 9328호 3면 7단

10 조선교육 향상을 위한 교육대회 이바지 531929년 10월 6일 10261호 3면 6단

11 <사설> 총리의 교육관(상) 551933년 8월 27일 1면

12 조선여성의 교육 보급 계획 591933년 11월 2일 11696호 1면 2단

13 <사설> 교육제도의 개혁 621934년 5월 9일 1면

14 조선 전역에서 처음으로 교육주간을 설정하다 661937년 10월 7일 13112호 2면 7단

15 정부의 양해를 얻어 조선교육 대개혁 681937년 12월 23일 13189호 2면 1단

16 조선 교육주간 701939년 10월 25일 13847호 2면 10단


제2장 식민지 교육

01 식민지 교육에 대하여(1) 731915년 3월 26일 5526호 93면 5단

02 식민지 교육에 대하여(2) 751915년 3월 27일 5527호 91면 1단

03 식민지 교육에 대하여(3) 771915년 3월 28일 5528호 91면 1단

04 식민지의 교육행정 791917년 10월 3일 6383호 1면 3단

05 식민지의 교육을 보고 811917년 10월 12일 6392호 91면 4단



제3장 여성교육

01 여성교육의 변혁 851920년 4월 6일 7248호 1면 2단

02 조선의 여성교육에 대하여 871921년 4월 15일 7482호 1면 2단

03 여성교육을 위하여 부산고등여학교의 확장은 이러한 이유로 필요 891923년 7월 6일 8156호 2면 7단

04 여성교육과 성인처녀 911926년 9월 7일 9170호 1면 3단

05 여학교 교육의 결함 931929년 2월 3일 1면 2단

06 여성교육의 개선 951929년 5월 12일 10116호 1면 3단

07 여성교육 개선책을 협의 961929년 5월 16일 10120호 2면 4단 

08 여성교육 개선(1) 971929년 5월 25일 10129호 1면 1단

09 여성교육 개선(2) 991929년 5월 26일 10130호 1면 1단

10 여성교육 개선(3) 1011929년 5월 27일 10131호 1면 1단

11 여성교육의 개선 1031930년 11월 12일 10648호 1면 2단

12 여성교육의 개선, 획기적 계획을 시행하다 1051935년 1월 3일 12113호 3면 3단

13 <사설> 여성교육의 검토 1071936년 3월 1일 12531호 1면 1단 


제4장 실업교육

01 실업교육 조사 1131918년 4월 21일 6572호 93면 6단

02 조선의 실업보습교육 상황 1141924년 5월 20일 5415호 2면 3단

03 조선인 자제의 실업교육 1161926년 11월 22일 9247호 2면 1단

04 실과교육 1171929년 7월 14일 10179호 2면 5단

05 실업교육에 우선 힘을 쏟아라 1191929년 11월 22일 10306호 1면 1단

06 실업교육 1211929년 11월 28일 10311호 1면 1단

07 직업교육의 진흥 1231930년 12월 5일 10670호 1면 2단 

08 실과교육진흥 동계 공업강습회 1251930년 12월 7일 10672호 2면 7단

09 경상남도 실과교육 1261931년 2월 20일 10741호 3면 6단

10 실업보습교육 그 지방화에 관하여 1271931년 11월 2일 10991호 1면 1단

11 실업교육에 정신 훈육을 강조 1291934년 5월 4일 11870호 2면 3단

12 실업교육 50주년 1311934년 8월 20일 11978호 2면 1단

13 <사설> 실업교육 25년 1321934년 10월 28일 12047호 1면 1단


제5장 농업교육

01 경남농업교육 쇄신협의회 1391930년 9월 11일 10588호 2면

02 세 학교 교장을 초대 농업교육의 쇄신 1401930년 9월 13일 10590호 2면


제6장 과학교육

01 체육교육 과학 제2회 연구회 1451930년 10월 17일 10624호 1면

02 기술적 교육과 과학 장려에 대해 1471931년 1월 13일 10704호 1면

03 과학교육과 간이 과학박물관 1491931년 11월 17일 11005호 1면


제7장 사범교육

01 여자사범학교의 이채, 경성 아가씨 졸업 1531917년 7월 15일 6307호 92면

02 사범교육 개선회의 1551927년 6월 3일 9431호 2면

03 사범교육 개선과 실업교육 진흥 1561927년 6월 28일 9456호 2면 5단

04 진주사범의 개선 교육의 보급 내용 충실 1581928년 2월 24일 9689호 2면 3단

05 결국 내년도부터 진주사범 폐지내정 1611929년 1월 29일 10017호 3면

06 고등사범학교의 승격과 정신교육의 진흥 1631929년 6월 29일 10164호 1면 

07 도덕교육주의에 사범교육 개선 1651929년 7월 29일 10194호 2면

08 철저하지 않은 사범교육의 개선 1671930년 11월 3일 10640호 1면

09 사범교육 개선 원안대로 가결하는가 1691930년 12월 14일 10679호 2면

10 사범교육 개선 1711930년 12월 17일 10682호 2면 4단

11 사범교육 문제 1731930년 12월 25일 10690호 1면

12 교육의 개혁과 여고등사범학교의 존폐 문제 1751931년 9월 3일 10933호 1면

13 학제 대개혁 우선 사범교육 쇄신 1771933년 11월 14일 11707호 1면

14 사범교육 개선안 다시 검토하다 1781934년 7월 31일 11958호 2면 1단

15 사범교육 개선 조사회 1791934년 8월 14일 11972호 2면 3단


제8장 유아교육

01 교육과에서는 ‘유아교육’을 한다 1831923년 5월 9일 8106호 3면

02 유아교육을 위해 유치원 설립 1851926년 2월 18일 8977호 3면

03 <사설> 유아교육의 중점 1861933년 4월 25일 11508호 1면


제9장 군사교육

01 조선과 군사교육 1911925년 6월 4일 8732호 2면 4단

02 군사교육은 조선에도 머지않아 실시 1931925년 6월 20일 8747호 3면 5단

03 조선 학교에 군사교육을 실시 1941925년 7월 7일 8764호 3면 4단

04 조선 군사교육 내년 봄부터 실시 1961925년 8월 8일 8795호 2면 2단

05 조선 군사교육 1971925년 9월 6일 8823호 2면 4단

06 주저하던 조선의 군사교육 1991925년 10월 13일 8859호 2면 1단

07 군사교육을 받는 부산의 중학생 2011925년 10월 19일 8864호 1면 6단

08 연합평의회는 ‘군사교육’이 주제인가 2021926년 2월 2일 8962호 2면 1단

09 금년도부터 실시하는 중등학교의 군사교육 2041926년 3월 18일 9005호 2면 1단

10 조선 전역 중등학교 군사교육 실시 2061926년 4월 17일 9033호 2면 1단

11 제1회 조사의 학교 군사교육 2081926년 11월 13일 9238호 3면 3단

12 조선의 특수사정으로 군사교육의 사회화 2101929년 8월 15일 10211호 2면 3단

13 부산 제2상업학교 생도 군사교육 2121933년 11월 5일 11698호 3면 3단

14 <사설> 군사교육의 보급 2131934년 6월 19일 11916호 1면 1단

15 조선인 자제 군사교육을 실시 2171934년 6월 27일 11924호 2면 5단

16 조선인 자제에게 군사교육을 실시하다 2191934년 7월 21일 11948호 2면 5단


제10장 도덕교육

01 도덕교육 강조 2231936년 1월 29일 12499호 2면 6단

02 도덕교육의 확립과 국체명징國體明徵의 철저화 2241936년 2월 1일 12502호 3면 4단

03 도덕교육 강습회 2271936년 2월 6일 12507호 2면 7단


제11장 공업교육

01 공업교육조사 2311916년 8월 9일 5985호 94면 5단

02 공업보습교육 부산부 당국의 방침 2321923년 4월 5일 8078호 2면 4단

03 생각지도 못한 부산공업보습 폐지 2331927년 2월 26일 9337호 3면 3단

04 공업교육 충실의 급선무 2351928년 1월 12일 9647호 2면 3단

05 공업교육의 충실 조선 전역 각지에 공업학교 2371936년 6월 2일 12624호 3면 4단

06 <경제만어> 공업학교의 설립 2391937년 12월 7일 13173호 5면 5단

07 공업교육의 확충 2411939년 4월 22일 13662호 1면 2단


제12장 부산경남교육회

01 부산교육회 총회 2451921년 4월 15일 7482호 2면 6단

02 경남교육총회 2461925년 10월 15일 8861호 2면 6단

03 부산교육회의 개항기념사업 2481926년 1월 20일 8949호 2면 7단

04 경상남도교육총회 2501929년 9월 21일 10248호 2면 6단

05 부산교육회 사회부회 2521933년 8월 16일 11620호 2면 8단

06 부산교육회 사적조사회 2531934년 6월 28일 11925호 2면 7단

07 경상남도교육총회 2541934년 10월 25일 12044호 3면 1단

08 부산교육회 창립 30주년 기념행사 2571937년 4월 25일 12947호 2면 4단

09 경상남도교육회 강습회 2591937년 12월 26일 13192호 2면 5단


조강희 趙堈熙, Cho Gang-hee

일본 히로시마대학 문학박사. 부산대학교 인문대학 일어일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부산대학교 일본연구소장, 부산대학교 교양교육원장, 한국연구재단 인문학단 전문위원, 부산대학교 인문대학장, 교육부총장, 대한일어일문학회 회장을 전임하였다.

연구논문으로 「東莱府の訓導·別差と対馬の朝鮮語通詞が交わした書簡の和解について-ハングル書簡の翻訳の観点から」(『일본학보』, 한국일본학회, 2017), 「『朝鮮王朝實錄』に見られる日本 名の 音譯表記法に関する研究」(『일어일문학』, 대한일어일문학회, 2021), 저서로 『朝鮮通信使 易地聘禮 交涉の舞台裏』(공저, 2018) 九州大學出版會 등 다수를 출간하였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