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Close

출간 도서

도서 상세보기

뒤로가기
해항의 정치사
메이지에서 전후로
저자 이나요시 아키라 역자/편자 최민경 역
발행일 2023.10.31
ISBN 979-11-5905-757-1
쪽수 538
판형 152*223 양장
가격 41,000원
서점 바로가기

해항사 연구의 부재를 메우다

일본은 섬나라로 국토 전체에 수많은 해항(海港)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해항사에 대한 연구는 단편적으로만 이루어져 왔는데, 이는 개항 이후 일본에서 해항이 건설되는 과정 자체가 기타 사회 인프라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기 때문이다. 철도나 하천의 경우, 부설·정비가 완료되면 지역 사회는 시각적 효과와 더불어 그 혜택을 즉각 느낄 수 있다. 따라서 과정 상 약간의 갈등이 있어도 그 지역의 이익으로 공유되기 쉽고, 그렇기 때문에 명확한 추진 주체에 의해 실행에 옮겨지기 마련이다. 하지만 근대 해항은 그것이 건설된다고 해서 지역 주민이 바로 체감할 수 있는 이익으로 다가오지 않는다. 오히려 바다와의 거리를 멀어지게 할 뿐이었다. 따라서 근대 일본에서 해항 건설은 지역 이익으로 성립하기가 매우 어려웠고, 그 결과 국가적 차원에서 이를 이끌어 갈 명확하고 일관된 ‘주역’도 없었다. 그리고 이러한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관련 연구 또한 충분히 축적되지 못한 상태가 이어진 것이었다. 『해항의 정치사-메이지에서 전후로』는 이와 같은 해항사 연구의 부재를 메우고자 한 책으로, ‘근대 이후 일본의 해항은 어떻게 구상되고 만들어졌을까’라는 질문에 대하여 방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실증적으로 답한다.

 

지역과 국가의 역동(dynamism)의 산물, 해항

저자는 근대 이후 일본의 해항사를 검토하는데 있어 해항 건설을 지역 이익으로 만드는 그 과정 자체에 주목하였다. 이는 지역 이익으로 성립하는 과정의 특징이 결국 국가적 차원의 추진 양상에도 반영되었기 때문인데,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은 국가와 지역의 경계에 위치한 ‘세계시민형(cosmopolitan) 행위자’였다. 지방 관료·기업인·의회 정치인과 같은 ‘세계시민형 행위자’는 지역 사회에 존재하지만 지역 사회 외부에도 관심을 지니는 자들로, 중앙과의 적극적인 관계 형성을 바탕으로 해항 건설을 지역 이익으로 만들어 내고 추진한다. 이 책에서는 근대 일본에서 추진된 여러 축항 사례 속 ‘세계시민형 행위자’의 활동과 그 결과를 상세하게 그려낸다. 해항 건설이 지역 이익으로 성립하기 어렵다고 해서 그것이 필요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근대 일본에 있어 해항은 군사적·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러한 상황 속 ‘세계시민형 행위자’가 보여 준 움직임은 ‘지역을 품고’ 해항을 바라봄과 동시에 국내외 정치·경제·사회 상황에 대한 기민한 이해를 바탕으로 국가의 이익과 연계시켜 실현에 이르게 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역동적인 것이었다.

 

시공간을 넘어 해역을 바라보다

『해항의 정치사-메이지에서 전후로』의 시각은 비단 근대 일본이라는 시공간에만 국한하여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니다. 조선, 타이완(臺灣) 등 제국 일본 식민지의 해항사를 다시 한 번 살펴봄으로써 근대 동북아해역을 가로질렀던 인적·물적 네트워크의 결절점이 어떻게 형성되고 전개되었는지, 그 과정을 새롭게 바라본다는 데 시사하는 바가 있다. 나아가 현대의 항만 (재)개발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도 역사적 깊이를 더할 수 있다. 저자가 한국어판 서문에서 논하였듯이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는 “사회적 다양성이 높아지면서 국가 차원의 중요성이 지역 사회의 독자성을 짓누르는 면죄부로서 기능할 수 없게” 된 사회이다. 그러므로 이 책에서 강조하는 다양한 정치 요소들의 집합체로서의 해항, 지역과 국가가 역동한 산물로서의 해항이라는 관점은 현대 항만, 나아가 해역 공간 전반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를 입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유효한 아이디어를 제공할 것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