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김말봉 | 역자/편자 | 진선영 편 |
---|---|---|---|
발행일 | 2021.08.20 | ||
ISBN | 9791159056307 | ||
쪽수 | 228 | ||
판형 | 신국 | ||
가격 | 15,000원 |
『김말봉 전집』은 한국 대중문학사에 한 획을 그은 김말봉 작품을 정전화한 전집이다. 특히 모든 작품은 발표 당시의 것(신문, 잡지 연재본)을, 연재 미확인 작품은 출판사 발해 초판본을 저본으로 삼았기에 김말봉 작품 연구에 토대를 마련하였다. 2014년 김말봉의 첫 장편 『밀림』을 필두로 1961년 작고하기 전까지 연재, 출판한 전 작품을 전집화 하는 것을 목표(총 30권가량)로 하고 있다.
『새가정』에 연재된 작품 『김말봉 전집 10-옥합을 열고』
『김말봉 전집 10-옥합을 열고』는 잡지 『새가정』의 창간호부터 1955년 3월호까지 14회 연재된 작품으로 잡지에 발표된 이후 단행본으로 출판된 적이 없다. 전집 10권을 통해 처음으로 단행본으로 출판된다는 의의가 있다.
잡지 『새가정』은 한국기독교가정생활협회에서 1954년 1월에 창간한 기독교 생활 잡지로 생명을 살리고 평화를 이루는 기독교 가정을 만들어 나가기 위한 취지로 창간되었다. 연재된 잡지의 성격에서도 유추되는 바 김말봉 소설 중 ‘유일한 기독교적인 작품’으로 평가받았다.
그간 김말봉 소설이 연애소설과 종교소설의 균형을 절묘히 유지하였다면 이 작품은 잡지사의 원고 청탁에 맞게 종교소설로 확연히 기울어져 있다. 김말봉은 작품의 제목에 주제의식을 함축하는 어휘를 사용하는데 이 작품에서는 그 상징물이 ‘옥합’이다. ‘옥합’은 성경에서도 여러 번 언급되는데 향유를 담는 호리병 모양의 상자를 칭한다.
이 작품의 주제는 기독교인의 진정한 인간상을 다루고 있다. 소설의 구도는 일반적인 연애소설의 형태를 띠지만 돌아온 탕자(상준)를 맞이하는 혜순과 김 집사의 은혜, 탕자의 회개에서 비로소 진정한 새 가정의 행복과 출발이 시작됨을 보여준다.
‘……한 여자가 있어 예수께서 바리새인의 집에 앉으셨음을 알고 향유를 담은 옥합을 가지고 와서 예수의 뒤로 그 발 곁에 서서 울며 눈물로 발을 적시고 자기 머리털로 씻고 그 발에 입 맞추고 향유를 부으니……“(마가복음 14 : 3-9)
‘상준은 마음속에서 소용돌이처럼 돌아가는 감격을 혜순에게 표시할 수도 있을 상싶다. 눈물은 혜순이가 흘리는데 상준은 마음속에서 가만히 옥합을 열었다. 두 손으로 옥합을 받들어 혜순의 머리 위에 향유를 붓는 상준의 두 눈은 성스럽게 빛난다.’(소설의 마지막 부분)
작품의 마지막 장면은 성경에서 그 이미지를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 작가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함축하여 제시하면서 종교소설로서의 해석을 가능케 한다.
지은이
김말봉(金末峰, Kim Mal Bong)
1901∼1961. 본명은 말봉(末峰), 필명은 보옥(步玉), 말봉(末鳳), 아호는 끝뫼, 노초(路草, 露草). 1901년 경남 밀양에서 출생하여 1919년 서울 정신여학교를 졸업하였고 이후 일본으로 건너가 1924년 동지사대학 영문과에 입학하였다. 1927년 동지사대학을 졸업하였고 『중외일보』 기자 생활을 하였다. 1932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단편 「망명녀」가 김보옥이라는 필명으로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하게 된다. 이어서 「고행」, 「편지」 등의 단편을 발표하였고 1935년 『동아일보』에 『밀림』을, 『조선일보』에 『찔레꽃』을 연재함으로써 일약 대중소설가로서의 자리를 굳히게 되었다. 하지만 일어로 글쓰기를 거부하여 더 이상 작품 활동을 하지 않다가 1947년 『부인신보』에 『카인의 시장』을 연재하면서 다시 소설 쓰기를 시작한다. 1954년 『조선일보』에 『푸른 날개』를, 1956년 『조선일보』에 『생명』을 연재하여 높은 인기를 얻었고 1957년 기독교 장로교회에서 최초의 여성 장로로 피선되었다. 1961년 지병인 폐암으로 사망하였다.
옮긴이
진선영(陳善榮, Jin Sun Young)
문학박사. 1974년 강릉에서 출생하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한국 대중연애서사의 이데올로기와 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대중문학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여 잊히고 왜곡된 작가와 작품의 발굴에 매진하고 있으며 젠더, 번역 등으로 연구의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유진오 소설의 여성 이미지 연구」, 「마조히즘 연구」, 「부부 역할론과 신가정 윤리의 탄생」, 「추문의 데마고기화, 수사학에서 정치학으로」, 「김광주 초기소설의 디아스포라 글쓰기 연구」 등이 있고, 저서로는 『최인욱 소설 선집』(현대문학), 『한국 대중연애서사의 이데올로기와 미학』(소명출판), 『송계월 전집』 1ㆍ2(역락), 『한국 베스트셀러 여성작가의 러브스토리 코드』(이화여대 출판문화원)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