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Close

출간 도서

도서 상세보기

뒤로가기
취미와 젠더
\'수공예\'와 \'공작\'의 근대
저자 쓰지 이즈미,이다 유타카,진노 유키 외 역자/편자 강현정,김연숙,남효진,이현희,전미경,허보윤 역
발행일 2023.07.31
ISBN 979-11-5905-812-7
쪽수 325
판형 152*223, 무선
가격 27,000원
서점 바로가기

취미의 탄생부터 젠더적으로 분화하기까지를 다루다
이 책은 오늘날 ‘취미’가 되어버린 인간의 만들기 행위를 다룬다. 기계생산 이래 설 자리를 잃은 만들기 행위는, 실용성 없는 취미 활동으로 전환되었다. 만들기 취미에 빠진 이들은 “생활에 별 쓸모가 없는데도 (…중략…) 직접 손으로 만드는 일에 몰두”한다. 다만 어떤 종류의 만들기를 취미로 삼을 것인가를 결정하는 데에는, 사회가 구성한 젠더성이 크게 작동했다.
여성은 뜨개질이나 집 안 꾸미기를 만들기 취미로 삼은 반면, 남성은 모형 공작과 목공 등의 취미를 가졌다. 근대 미술교육 체제에 만들기가 도입되어 초등교육 과정에서는 수공이나 공작으로 수행되다가 중학교 단계에 들어가면 여학생의 가정 교과목 안에 재봉이나 수예와 같은 만들기가 포함되고, 남학생의 경우는 ‘기술’ 교과목을 통해 공작 관련 도구 및 기계의 작동법을 배우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이 책의 저자들은 이렇듯 일본 현대의 ‘만들기 취미’가 그 출발선에서부터 젠더적으로 구성되었음을 세세하게 밝힌다. 
만들기 취미에 담긴 젠더성의 구축 과정을 살피고자 저자들은 20세기 초중반의 소년소녀 잡지를 꼼꼼하게 읽고 분석했다. 1954년부터 1960년까지 발간된 『주니어 솔레이유』라는 소녀 잡지의 기사를 주된 기초 자료로 삼아 여성 만들기 취미의 기원을 추적했고, 남성의 경우는 1924년 이래 오늘날에도 발간되고 있는 『어린이 과학』이라는 소년 잡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이를 통해 소년소녀 시절 손에 새겨진 젠더 규범이 깊게 뿌리 내려 어른이 되어서도 계속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다. 
저자 중 한 명인 이마다 에리카에 따르면 일본 근대 초기 소년들의 가장 커다란 관심사는 문학 관련 영역이었으나 다이쇼 후기부터 우수한 기술자를 육성한다는 국가적 필요성에 따라 소년들의 관심을 글쓰기에서 ‘공작’으로 유도했다. 저자 야마사키 아키코에 따르면 소녀의 만들기 취미인 ‘수예’는 “가정 내에서 사용하는 물건이나 가족을 위해 만든 물건 또는 만드는 행위를 가리키며, 기본적으로 아마추어의 수작업”이었다. 여성의 여가는 집을 아름답게 꾸미는 취미로 채워지고, 그것은 여성다운 행위로 미화되었다. 결국 “수예도 공작도 단순히 만들기의 한 종류가 아니라 젠더 규범을 배경으로 역사적으로 만들어진 행위였던 것”이다.
3인의 대표 저자인 진노 유키, 쓰지 이즈미, 이다 유타카가 쓴 서문에 따르면 “근대 사회에서는 쓸모없는 행위에 몰두할 때, 이유가 필요했다. (…중략…) 근대 초기 소년의 공작에는 공학적 지식을 얻어 국가를 위해 공헌하는 테크노크라트를 양성한다는 목적이, 소녀의 수예에는 현모양처로서 가정을 아름답고 쾌적하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는 목적이 붙어 있었다. 만들기 취미는 성역할을 따르는 정당한 행위로서 그 의의를 찾았다.” 그렇다면 “만들기 취미의 젠더적 분화는 취미의 생성 단계부터 당연한 귀결”이었다.

젠더성을 벗어나, 인문학적 연구 대상으로서의 취미
실상 만들기 취미 활동에는 국가적 유용성과 같은 대의명분을 뛰어넘는 무언가가 존재한다. 대부분의 사람은 국가도 가정도 아닌 그저 개인적 즐거움을 위해 만들기 취미에 열중한다. 오늘날에는 사회적 유용성을 내세우며 취미 활동을 하지 않는다. 저자의 말대로 “고도의 소비사회 속에서 쓸모없는 취미, 어른과 아이의 경계를 뛰어넘는 취미, 비생산적인 취미는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것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취미의 세계에는 젠더적 구분이 뿌리 깊게 박혀 있다. 이러한 젠더화는 만들기 취미도 가부장적 체제를 벗어나기 어렵다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 
그러나 더 근원적으로 바라보면 리처드 세넷이 말한 것처럼 만들기는 인류에게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는 중요한 행위였다. 이제는 이것이 특별한 예술이나 취미로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사람들은 만들기로 길러지는 유연한 사고방식을 잃어가고 있다. 게다가 손으로 만들어 생산하는 일은, 기계생산과 대량소비가 가져온 현대의 병폐를 돌아보고 문제의 해결책을 제시하는 힘을 가졌다. 인류의 역사는 만들기와 함께 시작되었다. 만들기의 산물이 쓸모와 분리되어 그 어떤 형태를 띠더라도 인간은 결코 만드는 행위를 저버리지 않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만들기’는 취미로든 전문 영역으로든 현대 사회에서 매우 의미 깊은 인문학적 연구 대상이다. 이 책이 그런 점을 상기시키는 계기이자 발판이 되길 바란다. 
이 책을 한국어로 옮긴 역자들은 2002년 ‘연구공간 수유+너머’에서 만나 꾸준히 공부하고 번역해 온 이들로, 현대공예이론(허보윤), 가족학(전미경), 일본학(남효진), 영화이론(강현정), 일문학(이현희), 국문학(김연숙)에 이르는 다양한 전공의 연구자가 모여 있다. 그간 <근대 일본의 문화사> 시리즈를 필두로 2022년 세종도서 학술 부문에 선정된 『여행의 모더니즘』 등의 번역서를 출간했다.

옮긴이의 말


서장/ 만들기와 젠더 | 진노 유키(神野由紀)·쓰지 이즈미(辻泉)·이다 유타카(飯田豊)


제1부/ 가정생활에 유용한 ‘수공예’

제1장/ 『주니어 솔레이유』에 나타난 소녀의 수예 | 야마사키 아키코(山崎明子)

제2장/ 『소녀의 벗』과 『주니어 솔레이유』를 통해 본 ‘소녀’·‘주니어’의 인형 | 이마다 에리카(今田繪里香)

제3장/ 인테리어 수예와 공작의 시대 | 진노 유키(神野由紀)

제4장/ 여학생과 수예-『주니어 솔레이유』 세대의 계승 | 나카가와 아사코(中川麻子)


제2부/ ‘공작’하는 소년공동체

제5장/ 과학 잡지에서 출발한 공작 취미와 철도 취미-전전·전중·전후에 발행된 『어린이 과학』 분석 | 쓰지 이즈미(辻泉)

제6장/ 공작 기사는 소년에게 무엇을 이야기했는가-전전과 전중 시기 ‘발명’으로 본 실용주의 정신 | 시오야 마사유키(塩谷昌之)

제7장/ 동원되는 어린이 과학-전시하의 공작과 병기 | 마쓰이 히로시(松井広志)

제8장/ ‘과학’과 ‘군사軍事’라는 굴레-1950년대 항공 잡지로 본 모형 공작 | 사토 아키노부(佐藤彰宜)


제3부/ ‘만들기’와 ‘공작’의 경계를 넘나드는 취미의 실천

제9장/ 일요목공의 사회사-남성의 만들기 취미와 가정주의 | 미조지리 신야(溝尻真也)

제10장/ 내가 만드는 DIY 자주방송 | 이다 유타카(飯田豊)

제11장/ 정원철도의 ‘사회화’-사쿠라다니 경편철도(桜谷軽便鉄道)의 현재 | 시오미 쇼(塩見翔)


마치며 | 진노 유키(神野由紀)

주석

여기에서 “우리들이 생각하는 이상”이란, 산업사회로 나아가는 가운데 인간성 회복을 지향하는 공작의 개념이 자연스럽게 퍼져나갔던 분위기를 가리킨다. 하지만 실제로 1970년대 일요목공의 열기가 끓어올랐던 것은 홈 센터시장의 확대와 함께 일어난 현상이었다. 미국의 교외형 대규모 홈 센터를 모델로 한 DIY용품점이 1972년 도이트 요노점 개업을 필두로 차례차례 문을 열었다. 이 흐름을 타고 개인이 운영하는 철물점이나 잡화점도 ‘일요목공 센터’라는 명칭으로 업태 전환을 꾀했던 것도 바로 이 시기였다. 당시의 업계 자료를 보면, 1974년 약 869억엔 규모였던 DIY 기본상품 소매시장은 1979년에는 1,784억엔으로 두 배 이상 성장할 것이라 예측했다. 실제 홈센터업계 단체인 일본 두 잇 유어셀프 협회의 조사에 따르면, 홈 센터의 총 매출액은 1974년 300억엔에서 1979년에는 3,850억엔까지 증가했다. 이런 상황에서 마쓰시타가 ‘만들기를 자연스럽게 생각하는 인식’에 근거한 행위가 바로 “진정한 의미의 D.I.Y”라고 강조한 것은, 일요목공이 업계 주도의 “이익을 위해 만들어진 붐”으로서 소비되는 것에 경종을 울리는 것이었다. (239쪽)

저자

쓰지 이즈미 辻泉, Izumi Tsuji

1976년생으로 도쿄도립대학(東京都立大学大学院) 사회과학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디어론을 포함한 문화사회학 전공으로 현재 주오대학(中央大学) 문학부 사회정보학전공 교수이다. 저서로 『철도소년들의 시대(鉄道少年たちの時代)』(2018), 편저서로 『미디어사회론(メディア社会論)』(2018) 등이 있다. 


이다 유타카 飯田豊, Yutaka Iida

1979년 히로시마에서 태어나 도쿄대학(東京大学) 기계정보공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의 학제정보학(学際情報学) 전공으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미디어론, 미디어기술사, 문화사회학 전공으로 현재 리쓰메이칸대학(立命館大学) 산업사회학부의 겸임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텔레비전이 구경거리였던 시절(テレビが見世物だったころ)』(2016) 등을 저술하였다.


진노 유키 神野由紀, Yuki Jinno

1964년 도쿄에서 태어나 아오야마가쿠인대학(青山学院大学) 문학부를 졸업하고, 쓰쿠바대학(筑波大学)에서 디자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근대 일본 디자인사·문화사 전공으로, 현재 간토가쿠인대학(関東学院大学) 인간공생학부(人間共生学部) 교수이다. 『취미의 탄생-백화점이 만든 취향(趣味の誕生-百貨店がつくったテイスト)』(1994), 『어린이를 둘러싼 디자인과 근대-확대된 상품세계(子どもをめぐるデザインと近代-拡大する商品世界)』(2011), 『백화점에서 ‘취미’를 파는 대중소비문화의 근대(百貨店で〈趣味〉を買う 大衆消費文化の近代)』(2015) 등의 저서가 있다.


역자

강현정 姜現正, Kang Hyunjung

한겨레문화센터 다큐멘터리 제작과정을 수료하고, 한국독립영화 소개 프로그램 <영화, 날개를 달다>를 제작하였다.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한국영화 및 동아시아영화 연구 전문사 과정을 수료한 후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문화자원기록 전공 과정을 수료하고 한국영상자료원에서 카탈로거로 일하고 있다.


김연숙 金淵淑, Kim Yeonsook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현대소설 전공으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대학에서 인문교양강의를 담당하고 있으며, 「전후 재건기 여성성공담과 젠더담론」(2021), 「전후 대중담론에 나타난 관계 지향의 욕망과 친밀성의 재구성」(2021), 『박경리의 말』(2020), 『일제 강점기 경성부민의 여가생활』(2018) 등 다수의 저서와 논문이 있다.


남효진 南孝臻, Nam Hyojin

서울대학교 의류학과를 졸업하고 패션의류 회사에서 패션머천다이저로 약 20년간 근무했다. 홍콩 소재 일본계 패션회사에서 머천다이징 컨설턴트로 일하면서 일본 문화에 흥미를 갖게 되어 한국방송통신대학 일본학과에서 일본어 및 일본 문화를 공부했다. 현재는 가톨릭상담심리대학원에서 상담심리학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상담심리사로 활동하고 있다.


이현희 李炫熹, Lee Hyunhee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연구교수. 고려대학교 중일어문학과에서 일본근현대문학 전공으로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일본 근대 탐정소설을 둘러싼 과학적 상상력」(2022), 「1920년대 ‘인조인간-로봇’의 수용양상 연구」(2020), 『유리병 속 지옥』(2019) 등의 논문과 역서가 있다.


전미경 全美慶, Jun Mikyung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교수. 가족학 전공으로, 동국대학교 가정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가족학 전공으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변화하는 사회 속 가족에 관심이 많으며, 논문과 저역서로 「COVID19 시기 가족의례에 관한 40~50대 기혼여성의 주관적 인식유형 연구」(2022), 「First-Year College Student Life Experiences during COVID19 in South Korea」(2021), 『근대가족, 길모퉁이를 돌아서다』(2012) 등이 있다.


허보윤 許寶允, Her Boyoon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공예과 교수. 서울대학교 공예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받고, 영국 미들섹스(Middlesex)대학에서 디자인사 석사, 포츠머스(Portsmouth)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대 공예의 사회적 의미를 연구하고 가르치며, 저서로 『권순형과 한국현대도예』(2009), 역서로 『공예란 무엇인가』(2011), 『일본 근대와 민예론』(2022) 등이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