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이만영,안슈만 토마르,조비,표정옥,박성애,권미란,김연숙,진은진,조미영,김병길,김지은,석형락,이상민,임보람,하창수,김혁수 | 역자/편자 | 김유정학회 |
---|---|---|---|
발행일 | 2022.12.15 | ||
ISBN | 9791159057458 | ||
쪽수 | 424 | ||
판형 | 신국판 무선 | ||
가격 | 36,000원 |
김유정학회의 11번째 학술서
김유정학회에서는 2012년 첫 단행본 『김유정의 귀환』을 시작으로 2020년 『김유정 문학 콘서트』까지 매년 김유정학회의 학술 활동 결과를 모은 단행본을 출간해왔다. 2022년, 11번째로 출간한 단행본은 『김유정문학과 세계문학』이다. 그간 김유정문학의 비교문학적 접근과 번역 현황 연구, 김유정 번역의 「잃어진 보석」 분석 등 다양한 접근이 없지 않았으나, 이번에는 그 연구 결과 중 단행본에 수록되지 않은 해외연구자의 논문을 포함하여 김유정 문학에 대한 13편의 논문과 두 편의 창작 작품을 엮었다.
김유정 소설의 고유성과 세계적 보편성
김유정 소설의 고유성과 세계적 보편성은 어디에 있는가. 그 다양한 확장 가능성에 대해 생각해본다.
K-콘텐츠가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지금, 우리 고유의 이야기 가치는 어디에 있으며, 어떻게 확장할 수 있는가. 김유정학회에서는 그 누구보다 한국적인 표현과 향토적 색채를 보여준 김유정만의 특별함과 콘텐츠 가치를 찾고, 시대와 지역과 매체를 넘어 확장 가능성을 타진한 글을 모아 그 답을 모색한다.
제1부에는 ‘세계문학 속의 김유정 문학’이란 제목으로 네 편의 논문을 실었다. 「김유정과 문학사」(이만영)는 김유정 문학의 해학성이 문학사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1950~1960년대가 한국문학의 고유성과 세계성에 대한 관심이 고양된 시기였음을 지적한 글이다. 「김유정과 쁘렘짠드 소설의 여성상 비교 연구」(안슈만 토마르, Anshuman Tomar)는 1930년대 인도의 작가 쁘렘짠드(Prem Chand)의 소설과 김유정 소설의 여성상을, 「1930년대 한 중 매춘 모티프 소설에 나타난 비극적 가정 서사 비교 연구」(조비, Cao Fei)는 김유정의 「소낙비」와 중국의 작가 러우스(柔石)의 「노예가 된 어머니(爲奴隶的母亲)」를, 그리고 「근대적 미의식의 양가적 충돌과 타자적 여성성에 대한 서로 다른 두 시선 연구」(표정옥)는 19세기 미국의 대표 작가인 너새니얼 호손의 「반점(The Birthmark)」과 김유정의 「안해」를 비교한 글이다.
제2부에는 매체와 장르, 시대를 넘어 김유정의 콘텐츠 원형의 확장 가능성을 검토한 네 편의 글을 수록했다.
「정전 이어쓰기를 통한 주제의 심화와 변주 양상」(박성애)은 현재 김유정문학촌 촌장인 이순원을 비롯한 7명의 소설가가 김유정의 「봄·봄」을 이어쓰기하여 엮은 『다시, 봄·봄』 수록 소설을 본격적으로 비교 분석한 논문이다. 「김유정 소설의 극적 요소」(권미란)는 「봄·봄」과 「동백꽃」이 대중성과 보편성을 겸비하게 된 이유가 남녀 인물 구도와 행위, 갈등의 양상과 농촌 공간의 설정이라는 극적 요소에 있음을 밝히고 있다. 「1930년대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금(金)’과 경제적 상상력의 표상」(김연숙·진은진)은 조선후기 야담 <개성상인(開城商人)>과 김유정의 ‘금’ 소재 소설을 비교 분석한 글이고, 「TV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에 나타난 소설의 서사와 의미의 확장」(조미영)은 김유정의 「동백꽃」과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에 나타난 원형적 의미가 드라마로 어떻게 확장되었는지 살핀 글이다.
제3부에는 김유정소설의 문제성을 재검토하고, 감정과 언어, 미학적 성취와 윤리 문제 등 새로운 시각에서 접근한 다섯 편의 논문을 수록했다.
「식민 시기 빈궁에 관한 두 기록」(김병길)은 빈궁을 경험하고 그것을 핵심 모티프로 소설을 쓴 두 작가 최서해와 김유정의 창작 태도를 비교한 글이고, 「「동백꽃」의 어수룩한 ‘나’의 감정 ‘다시’ 보기」(김지은)는 ‘감정’을 통한 「동백꽃」의 포스트-서사학적 교육의 방향을 논구한 글이다. 「맹세하는 인간과 처벌 없는 세계」(석형락)는 김유정 소설이 세계에 반드시 던져야만 하는 말(맹세)과 던질 수 있는 마지막 말(유언)의 사이에 있다고 보고, 김유정이 제안한 윤리의 세계를 탐구한 논문이고,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비정상의 낯선 익숙함」(이상민)은 식민치하 인간관계가 합리성과 이성에 근간하고 있지 않음을 비정상성의 노출이란 의도적 장치를 통해 폭로하고 있다고 주장한 글이다. 「김유정의 「소낙비」에 나타난 ‘소리풍경’ 연구」(임보람)는 연구자의 연속논문의 하나로, ‘소리풍경’이라는 미학적 구조가 소리 주체와 청자의 공동 관계를 형성하여, 「소낙비」의 춘호부부에 대한 독자의 윤리적 판단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도록 한다고 해석하였다.
“그러고 보면 김유정, 이상, 박태원, 이태준이 활동하던 1930년대는 우리 문학에서 거의 유일하게 ‘꼰대’가 없었던 시대였어요. 당시는 현대문학이 시작되던 때라 꼰대 노릇할 선배나 선생이 존재하지 않았던 때문이겠죠. 이광수 연배의 작가나 시인도 그때는 현대문학을 함께 하는 동료고 동지였으니까요. 그런 만큼 문학적 개성이 가장 또렷하게 드러난 시기였다고도 할 수 있을 겁니다.”
문학적 꼰대가 없던 시대―듣기에 따라서는 반발이 따를 수도 있지만, 그 말에는 강렬한 뭔가가 내재했다. 문학이 작가 개인의 산물이라는 점에서도 ‘꼰대’가 지닌 부정적 어의는 명확했다. 하지만 L이 거론한 꼰대에는 그것 말고도 꽤 많은 것들이 들어 있었다. 그 ‘많은 것’에 대해 H가 생각에 잠겨 있을 때, 촌장실 출입문에서 노크 소리가 들려왔다. 곧 여성 한 분이 안으로 들어섰다.
―하창수, 「유정有情과 이상理想의 날들-장편소설 <미드나잇 인 경성> 구상 전말기」 중
제4부에는 김유정 소설을 새롭게 읽고 그의 생애를 재구성한 창작소설과 희곡을 실었다. 「유정有情과 이상理想의 날들-장편소설 <미드나잇 인 경성> 구상 전말기」(하창수)는 작가 H가 1920~30년대 활동한 김유정과 그의 친구들이 실명으로 등장하는 <미드나잇 인 경성(유정과 이상의 날들)>이라는 장편소설 쓰기에 대해 쓴 메타소설이다. 「유정-봄을 그리다」(김혁수)는 2022년 강원도립극단과 춘천문화재단이 공동으로 제작하여 공연한 <유정-봄을 그리다>를 재구성한 뮤지컬 대본으로, 현신(現身)의 유정과 영가(靈駕)의 유정을 등장시켜 그의 소설과 삶을 나누고 또 겹쳐서 읽어내도록 표현하였다.
책머리에 3
제1부 김유정 문학과 세계문학
이만영 김유정과 문학사-1930~60년대 김유정론의 전개 양상을 중심으로 15
1. 들어가기-문학사 서술과 김유정 15
2. ‘한 개의 기담奇譚’ 혹은 신심리주의 19
3. 발견된 해학, 세계문학으로의 길 27
4. 나가기-김유정의 해학과 문학사 서술의 향방 36
안슈만 김유정과 쁘렘짠드 소설의 여성상 비교-‘매춘’의 양상을 중심으로 41
토마르 1. 들어가며 41
2. 김유정과 쁘렘짠드 소설에 나타난 매춘의 양상 51
3. 나가며 67
조비 1930년대 한ㆍ중 매춘 모티프 소설에 나타난 비극적 가정서사 비교-「소낙비」와 「노예가 된 어머니」를 중심으로 73
1. 들어가며 73
2. 현실 탈출에 실패한 남편들의 타락상 81
3. 출구 없는 아내들의 탈윤리적 모습 89
4. 나가며 96
표정옥 근대적 미의식의 양가적 충돌과 타자적 여성성에 대한 서로 다른 두 시선-너새니얼 호손의 「반점The Birthmark」과 김유정의 「안해」를 중심으로 101
1. 들어가며 101
2. 전근대적 이데올로기와 비주체적 자아 107
3. 새로운 미적 논쟁과 미적 가치의 양가성 113
4. 근대 타자적 여성성의 서로 다른 두 시선 119
5. 나오며 126
제2부 확장과 상상, 매체와 장르를 넘어서
박성애 정전 이어쓰기를 통한 주제의 심화와 변주 양상-「봄ㆍ봄」과 『다시, 봄ㆍ봄』을 중심으로 133
1. 이어쓰기, 타자의 목소리를 재현하는 방법 133
2. 우회하는 타자의 ‘말’과 희극적 부스러기-김유정의 「봄ㆍ봄」 138
3. 시점의 활용을 통해 전달되는 타자의 ‘말’ 142
4. 인물의 개성 보완-타자들의 연대와 글쓰기 151
5. 중심세계에서 타자의 목소리로 말하기 159
권미란 김유정 소설의 극적 요소-김유정 소설 「봄ㆍ봄」과 「동백꽃」을 중심으로 162
1. 김유정 소설 속 ‘사랑’의 의미-보편적 정서 함양을 위한 교감의 매개체 162
2. 극적 환상과 현실을 오가는 인물 ‘나’의 정체성 165
3. 극적 담화와 인물형상화 전략 171
4. 맺음말 177
김연숙 1930년대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금金’과 경제적 상상력의 표상진은진 -조선 후기 야담 <개성상인開城商人>과 비교를 중심으로 181
1. 들어가며 181
2. 조선 후기 야담에 나타난 ‘금’과 경제적 상상력 184
3. 김유정의 1930년대 소설-절대적 수단이자 목적인 ‘금’과 경제적 욕망 194
4. 나가며 203
조미영 TV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에 나타난 소설의 서사와 의미의 확장-「동백꽃」과 「메밀꽃 필 무렵」을 중심으로 208
1. 들어가며 208
2. 절충주의와 스토리텔링 213
3. 동백꽃, 필 무렵의 이야기들 216
4. 의미와 의미의 확장, 그리고 다시 이야기 221
5. 나가며 228
제3부 미학적 성취와 윤리, 독자의 시선
김병길 식민시기 빈궁에 관한 서사 재현의 두 가지 양상-최서해와 김유정의 작품을 중심으로 235
1. 글을 열며 235
2. 분노로 써 내려간 자전적 기록 238
3. 파괴된 농촌공동체의 사설辭說 245
4. 글을 마치며 253
김지은 「동백꽃」의 어수룩한 ‘나’의 감정 ‘다시’ 보기 256
1. 포스트-서사학적 소설교육을 위한 ‘감정’의 렌즈 256
2. ‘마을’에서 중첩되는 감정의 충돌 263
3. ‘눈물’로 외현되는 감정의 전이 269
4. ‘닭싸움’으로 매개된 감정의 확장 273
5. 소설교육에의 시사점 탐색 279
석형락 맹세하는 인간과 처벌 없는 세계-맹세의 시각에서 김유정 문학 다시 읽기 286
1. 들어가며 286
2. 생명으로서의 맹세와 질서로서의 처벌 293
3. 이행되지 않는 맹세와 처벌 없는 세계 303
4. 나오며 313
이상민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비정상의 낯선 익숙함 318
1.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는 어디인가 318
2. 누가 피해자이고, 가해자인가, 경계의 모호성과 충돌 322
3. 왜곡된 상황에서 예측 불일치로 다가오는 낯선 충격 328
4. 무엇을 비정상이라 말할 수 있는가 336
임보람 김유정의 「소낙비」에 나타난 ‘소리풍경’ 연구 339
1. 들어가는 말 339
2. 바람의 역동성과 ‘소리풍경’ 형성 343
3. 소낙비가 내리는/그친 ‘소리풍경’ 348
4. 나오는 말 355
제4부 유정을 다시 쓰다
하창수 유정有情과 이상理想의 날들-장편소설 「미드나잇 인 경성」 구상 전말기 363
김혁수 유정, 봄을 그리다 382
필자 소개(수록순) 422
엮은이
김유정학회
김유정 문학과 동시대 문학 연구를 중심으로, 장르 및 매체 변화에 따른 재창조작업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는 데 목적을 두고 2011년에 설립된 학술연구단체이다. 매년 전국규모의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학술연구서를 출간하고 있다.
필자
이만영(李萬英, Lee Man-young)
고려대학교 강사. 2014년에 계간 『실천문학』 신인상을 수상하면서 문학비평가로 등단, 2018년에 「한국 초기 근대소설과 진화론」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무정』 판본의 서지적 고찰」(2017), 「1950~60년대 해학론의 전개 양상과 그 의미」(2022), 『센티멘탈 이광수-감성과 이데올로기』(공저, 2013), 『한국 근대문학의 형성과 진화론』(2021) 등 다수의 논문 및 단행본을 발표하였다.
안슈만 토마르(Anshuman Tomar)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현대문학 박사. 한국 근현대소설 연구자이며 한국의 식민지 문학과 분단 문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인도 분단 소설에 나타난 비극의 양상 연구-쿠쉬완트 싱의 「파키스탄행 열차」를 중심으로」(2021), 「주요섭과 물크 라즈 아난드 소설의 서발턴 비교 연구」(2020), 「한국과 인도의 소설에 나타난 무산계급 삶의 비교 연구」(2018)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조비(曹飛, Cao Fei)
중국 안후이성 쑤저우대학교 외국어학과 강사이다. 아주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어국문학을 공부했다. 현재 대학에서 한국어 강의를 하고 있고 한국 고전 시가에도 관심을 가기고 있다. 「동북아 문화교류-한국 시조 문학에 수용된 중국 어전을 중심으로」 논문은 2022년 제2회 중국 안후이성 비교문학 청년학자 博融 포럼에 삼등상을 받았다.
표정옥(表正玉, Pyo Jung-ok)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대학 교수이다. 「근대 최남선의 신화 문화론」(2017), 「신화적 상상력과 융합적 글쓰기」(2019), 「신화와 미학적 인간」(2016), 「신화적 상상력에 비쳐진 한국문학」(2014) 등 다수의 연구 저서와 다수의 논문이 있다. 현재 대학에서 신화, 문화, 여성, 놀이, 글쓰기, 토론 등 다양한 인문학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박성애(朴聖愛 Park, Seong-ae)
서울시립대학교 강의전담객원교수로 한국아동청소년문학 연구자이다. 최근 논문으로 「과잉되고 우회하는 말하기와 윤리적 듣기」(2022), 「세계 내 타자의 밀도와 저항의 방식」(2021), 「아동서사문학의 장애담론과 소통 가능성」(2020), 「청소년소설에 나타나는 소년의 ‘행위’ 가능성과 아버지의 이름」(2020) 등이 있다.
권미란(權美蘭, Kwon, Mi-ran)
서강대학교 강사. 한국 연극 전공하고 현재는 카이스트, 가천대, 연세대학교에서 연극과 글쓰기 강의를 하고 있다. 2016년 이강백 희곡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김연숙(金淵淑, Kim Yeons-ook)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다. 『여행의 모더니즘』(공역, 2022), 「전후 재건기의 여성 성공담과 젠더담론」(2021), 「전후 대중담론에 나타난 관계 지향의 욕망과 친밀성의 재구성」(2021), 『박경리의 말』(2020), 『일제강점기 경성부민의 여가생활』(공저, 2018) 등 다수의 저서와 논문이 있다. 현재 대학에서 인문 교양 강의를 담당하고 있다.
진은진(陳恩眞, Jin Eun-jin)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다. 여성탐색담의 서사적 전통 연구(2008), 심청전의 어린이 문학 변용 양상(2018), 토끼전의 현대적 수용 양상과 전망(2016), 전설의 현대화와 공포의 전략(2017) 등의 논저가 있다. 현재 대학에서 글쓰기를 담당하고 있으며, 어린이문학과 노인 글쓰기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조미영(曺美英, Cho Mi-Young)
평택대학교 공연영상콘텐츠학과 겸임교수다. 『창의적 사고와 글쓰기』(공저,2020), 『스토리텔링과 생활』(공저, 2020), 「시간여행의 이중 서사가 갖는 의미 양상 연구-드라마 눈이 부시게 를 중심으로」(2021) 등의 논문이 있다. 현재 대학에서 영상문학과 글쓰기를 가르치고 있다.
김병길(金炳佶, Kim Byoung-gill)
숙명여자대학교 교수로 한국 근현대소설 연구자이다. 저서로 『역사소설 자미에 빠지다』(삼인』, 『역사문학 속과 통하다』(삼인), 『정전의 질투』(소명출판), 『우리말의 이단아들』(글누림), 『우리 근대의 루저들』(글누림), 『우리 소설의 비급』(기파랑) 등이 있다.
김지은(金智恩, Kim Ji-eun)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강사이다.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였고, 동대학원에서 현대소설교육을 공부하고 있다. 오늘날 청소년 학습자들이 향유하는 서사 장르를 기반으로 한 문학교육의 윤리적 역할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국민대와 수원대에서 고전 읽기 및 글쓰기 등의 교양 교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석형락(石亨洛, Seok, Hyeong-rak)
아주대학교 다산학부대학 강의교수. 아주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을,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현대문학을 공부했다. 2012년 『세계일보』 신춘문예에서 평론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2022년 제2회 김유정 학술상을 신진연구자 부문에서 받았다. 비평집 『기어코 문제는 듣기다』가 있다.
이상민(李相旼, Lee Sang-min)
가톨릭대학교 학부대학 교수로, 한국 현대소설을 전공했다. 대학에서 교양교육을 담당하며 창의교육과 인성교육으로 연구영역을 확장해 가고 있다. 『인성교육, 미래를 말하다』(북코리아, 2022, 공저), 『인성교육, 방법을 묻다』(북코리아, 2021, 공저), 「가톨릭대학교 키스톤디자인 교육과정연구」(2020) 등 다수 저서와 논문이 있다.
임보람(林보람, Im Bo-ram)
강원대 인문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주요 논문으로 「쓰레기로의 전회가능성과 생태학적 상상력」(2022), 「김유정의 산골 나그네에 나타난 소리의 수사학」(2021), 「「이청준의 「시간의 문」에 나타난 시간은유 연구」(2020),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유머의 수사학(2019)」 등이 있다. 언어로써 타자들과 관계 맺는 방식을 연구하고 있다.
하창수(河昌秀, Ha Chang-su)
소설가이자 번역가. 1987년 『문예중앙』 신인문학상에 중편소설 「청산유감」이 당선되어 등단. 1991년 장편소설 『돌아서지 않는 사람들』로 한국일보문학상, 2017년 단편 「철길 위의 소설가」로 현진건문학상을 수상했다. 중단편집 『서른 개의 문을 지나온 사람』, 『달의 연대기』, 장편소설 『그들의 나라』, 『함정』, 『1987』, 『봄을 잃다』, 『천국에서 돌아오다』, 『미로』 등을 출간했다. H.G 웰스, 어니스트 헤밍웨이, 윌리엄 포크너, 스콧 피츠제럴드, 러디어드 키플링, 헨리 제임스 등 주요 영미작가의 소설과 『바람 속으로』, 『명상의 기쁨』, 『오늘부터 다르게 살기로 했다』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김혁수(金赫壽, Kim Hyuck-soo)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주임(초빙)교수이다. 1994년 문화일보 신춘문예와 월간문학 신인문학상을 통해 극작가로 등단, 『유정-봄을 그리다』(희곡집, 2021), 『무대 뒤에 있습니다』(희곡집, 2000) 등의 단행본을 발표하였다. 대산문화재단 우수 문인 선정과 함께 한국문협 작가상을 수상하였으며, 현재 극단 금병의숙 대표, 김유정문학촌 운영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