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육유 | 역자/편자 | 주기평 역 |
---|---|---|---|
발행일 | 2023.06.25 | ||
ISBN | 979-11-5905-807-3 | ||
쪽수 | 494 | ||
판형 | 152*223 양장 | ||
가격 | 42,000원 |
송대를 대표하는 남송 최고의 시인, 육유
이 책의 저자인 육유(陸游, 1125∼1209)는 중국 남송(南宋)의 시인으로, 자(字)는 무관(務觀)이고 호(號)는 방옹(放翁)이며 월주(越州) 산음(山陰, 지금의 절강성(浙江省) 소흥시(紹興市)) 사람이다. 이른바 남송사대가(南宋四大家)의 한 사람으로서 남송의 시단을 대표한다. 평생 일만 수에 달하는 시와 우국의 열정으로 가득한 시편을 통해 중국 최다작가이자 대표적인 우국 시인으로서의 명성을 지니고 있다. 그는 풍부한 문학적 소양과 방대한 지식, 부단하고 성실한 창작 태도 등을 바탕으로 시집 『검남시고(劍南詩稿)』 85권 외에 『위남문집(渭南文集)』 50권, 『남당서(南唐書)』 18권, 『노학암필기(老學庵筆記)』 10권, 『가세구문(家世舊聞)』 등 사와 산문, 역사 방면에서도 많은 저작들을 남기고 있다.
육유 시의 전모를 살펴볼 수 있는 시선집
이 책은 현전하는 육유 시선집 중 가장 이른 시기에 편찬된 것으로, 남송(南宋) 나의(羅椅)가 편찬한 『간곡정선육방옹시집(澗谷精選陸放翁詩集)』 10권과 남송(南宋) 유진옹(劉辰翁)이 편찬한 『수계정선육방옹시집(須溪精選陸放翁詩集)』 8권 및 명(明) 유경인(劉景寅)이 편찬한 『육방옹시별집(陸放翁詩別集)』 1권의 합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 수록된 작품 수는 총 687수이다.
육유의 시는 일찍부터 우리에게도 널리 알려져 있었으며, 특히 조선의 문인들은 육유의 시에 대해 많은 관심을 기울여 조선 전기 세조 연간에 『간곡』과 『수계』를 합간한 『명공묘선육방옹시집(名公妙選陸放翁詩集)』이 간행되었으며, 조선 후기 정조 연간에는 두보의 율시와 육유의 율시를 모은 『두율분운(陸律分韻)』 등의 시선집이 간행된 바 있다. 따라서 이 책은 중국 문학 전공자들의 송대 시 연구뿐 아니라 한국학 연구자에 있어 중국 시문학의 한국적 수용양상과 영향 등을 파악하는 데에도 좋은 자료가 되며, 일반 독자들에게는 중국 전통 시에 대한 지식과 감성을 쌓는 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육유의 시 전집은 명대까지도 아직 완정한 간본이 없이 필사본으로만 전해지고 있다가, 명대 모진(毛晉, 1599∼1659)의 급고각(汲古閣)에서 시 전집 『검남시고(劍南詩稿)』가 간행되어 오늘날까지 전하고 있다. 『정선육방옹시집』은 『검남시고』보다 백여 년 전에 간행된 것으로, 남송(南宋)의 나의(羅椅)와 유진옹(劉辰翁) 및 명(明) 유경인(劉景寅)이 편찬한 개별 선집을 하나로 엮어 각각 전집, 후집, 별집으로 구분하여 간행한 것이다. 이 책은 육유의 시 전집이 나오기 이전에 육유의 시를 보존하고 유통하는 데 커다란 기여를 했을 뿐 아니라, 비평가의 관점에서 적절한 평점과 평어를 병기함으로써 육유 시의 전모를 잘 드러내 보여주고 있는 대표적인 시선집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선록된 시가의 구성면에 있어 육유 시의 서로 다른 풍격을 살펴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선집이다. 『간곡』에는 육유의 시 중에서 청신하고 맑은 감성을 노래한 시가나 자연의 풍광을 노래한 산수 시 등이 수록된 반면, 『수계』에는 침략당한 나라를 애통해하는 비분강개한 감정과 강한 투쟁 정신을 표출하는 애국주의 정신을 담고 있는 시가들이 많다. 이러한 두 가지 풍격은 전종서(錢鍾書)가 『송시선주(宋詩選注)』에서 “육유의 작품에는 두 가지 측면이 있다. 하나는 비분과 격앙에 찬 감정으로 나라를 위해 설욕하고 잃어버린 국토를 찾아 도탄에 빠진 백성들을 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한적하고 섬세한 느낌으로 일상생활 속의 깊은 재미를 음미하고 눈앞의 경물의 다양하게 굴곡진 모습을 세밀하게 그려내는 것이다.”라고 밝힌 바와 같이, 육유의 시 세계를 구성하는 커다란 두 흐름이라고 할 수 있다.
역자 서문
수계정선육방옹시집(須溪精選陸放翁詩集)권8
칠언절구(七言絶句)
선어포에서 중고 형의 편지를 받고(仙魚舖得仲高書)
서쪽으로 원정 갔던 막부에서의 일을 추억하며(追憶征西幕中事)
꿈속의 일을 쓰다(夢中作)
천축산의 새벽길(天竺曉行)
아들에게 보이다(示兒)
오 땅 미인의 노래 4수(呉娃曲四首)
강을 지나다 소산현에 이르니 역참 동헌의 해당화가 이미 시들어(過江至蕭山, 縣驛東軒海棠已謝)
옛날을 느껴(感舊)
두포교를 지나며(過杜浦橋)
배 안에서의 감회를 태부상공께 드리고 겸하여 악대용 낭중께 전하다(舟中感懷, 呈太傅相公, 兼簡岳大用郞中)
장공부의 정원에서 술 마시며 놀이 삼아 부채 위에 쓰다(飮張功父園戱題扇上)
봄날 저녁(春晩)
즉시 쓰다(卽事)
뜰 안에서(園中)
겨울밤 호각 소리를 듣고(冬夜聞角聲)
하씨 집 객사에서(何家客亭)
여지루에서 잠깐 술 마시며(荔枝樓小酌)
노자의 동굴(老君洞)
선유각(仙遊閣)
연을 캐다(采蓮)
오언율시(五言律詩)
배에서 밤에 앉아(舟上夜坐)
가려 했으나 비가 그치지 않아(欲行雨未止)
연못가 정자에서 밤에 앉아(池亭夜坐)
작은 배로 길택을 지나다가 왕 우승을 본떠(小舟過吉澤効王右丞)
눈 그친 후 천추관을 들러(雪霽過千秋觀)
새벽에 일어나(晨起)
은거하며(幽居)
호각 소리를 듣고(聞角)
양제백에게 부쳐(寄楊濟伯)
가랑비(小雨)
장진보 사인에게 부쳐(寄張眞父舍人)
왕궁의 학교에서 임기를 마치고 행재소로 가는 중고 형을 전송하며(送仲高兄宮學秩滿赴行在)
밤에 꿈에서 몇몇 객을 따라 빗속에 술을 싣고 유람하러 나갔다가 장안으로 가(夜夢從數客雨中載酒出遊之長安)
큰아이가 벼를 베고 저녁에 돌아와(統分稻晩歸)
강릉의 시골 주점 벽에 쓰다(題江陵村店壁)
배를 옮겨타고(移船)
녹문관에서 방사원의 사당을 지나며(鹿門關過龐士元祠)
상원절 하루 전날(上元前一日)
오언절구(五言絶句)
이른 매화(早梅)
병중에 여러 일을 읊다 10수(病中雜詠十首)
국화를 캐다(採菊)
육방옹시별집(陸放翁詩別集)
오언시(五言詩)
옛날 남정에 종군할 때 흥주과 봉주 사이를 자주 왕래하였는데 한가한 날에 옛날 노닐던 것을 추억하고 쓰다(頃歲從戎南鄭, 屢往來興鳳間, 暇日追懷舊遊有賦)
겨울의 감흥 10운(冬日感興十韻)
숙직하는 관서의 벽에 쓰다(書直舍壁)
관직을 그만두고 감회를 쓰다 2수(致仕述懷二首)
늦봄의 여러 감흥(春晩雜興)
늦봄 2수(暮春二首)
작은 배로 서쪽 도랑을 노닐다 서쪽 강을 건너 돌아오다(小舟遊西涇, 度西江而歸)
초봄의 감흥(初春雜興)
중춘에 우연히 쓰다(中春偶書)
북쪽 서재에서 뜻을 써서 아이들에게 보이다(北齋書志示兒輩)
오월 초에 쓰다(五月初作)
매시로 가는 도중에(梅市道中)
가을밤에 생각을 적다(秋夜紀懷)
집 북쪽에 요락한 경물이 매우 아름다워 우연히 쓰다 5수(舍北搖落景物殊佳偶作五首)
남은 섣달(殘臘)
초한에 홀로 있다가 놀이 삼아 쓰다(初寒獨居戱作)
새벽에 일어나(晨起)
오경에 잠을 이루지 못하다가 일어나 술 한잔하고 다시 잠자리로 가다(五鼓不得眠, 起酌一盃復就枕)
신유년 동지(辛酉冬至)
기유년 초하루(己酉元日)
갑자년 초하루(甲子元日)
청명절(淸明)
삼짇날(上巳)
취중에 쓰다(醉中作)
눈 속에서 2수(雪中二首)
적은 눈(小雪)
큰 눈이 달 아래 아침까지 내리다가 낮에 비로소 개려 하여(大雪月下至旦欲午始晴)
밤에 달빛을 거닐며(夜中步月)
서재 벽에 쓰다 2수(題齋壁二首)
스스로 서술하다 3수(自述三首)
붓 가는 대로 쓰다(書適)
은거하며(幽事)
정원을 만들어(葺圃)
은거하며(幽事)
북쪽 울타리(北檻)
산을 노닐며 2수(遊山二首)
소산 2수(巢山二首)
홀로 공부하며(孤學)
개손을 곡하며(哭開孫)
병 중에 쓰다(病中作)
병들어 누워 생각나는 대로 쓰다 2수(臥病雜題二首)
병 중에 아이들에게 보이다(病中示兒輩)
칠언시(七言詩)
엄주를 다스리며 감회를 쓰다(守嚴述懷)
성에 들어와 군의 정원과 여러 집의 뜰 정자에 이르렀는데 노니는 사람이 매우 많아(入城至郡圃及諸家園亭, 遊人甚盛)
잠깐 날이 개어 노닐러 나가(乍晴出遊)
무림(武林)
서촌에서 저녁에 돌아와(西村暮歸)
도성으로 들어가며(入都)
상소 올려 사직하니 은혜로이 사록을 내려주시어 마침내 오월 초에 고향으로 돌아가게 되어 5수(上章納祿恩畀外祠, 遂以五月初東歸五首)
칠십 세(七十)
베갯머리에서 쓰다(枕上作)
여든셋의 노래(八十三吟)
놀이 삼아 늙은이의 생각을 쓰다(戱遣老懷)
봄이 가까워(春近)
잠에서 깨어 뜰 가운데 이르러(睡起至園中)
입춘일(立春日)
동쪽 울타리(東籬)
봄 여름이 교차하는 때 바람 부는 날이 맑고 아름다워 기뻐 느낀 바 있어(春夏之交風日淸美, 欣然有感)
다리에 병이 나 여러 날 암자 문을 나가지 않고 꽃을 꺾어 스스로 즐기다(病足累日不出菴門, 折花自娛)
봄날 작은 뜰에서 생각나는 대로 쓰다(春日小園雜賦)
늦봄에 일을 느껴(晩春感事)
갑자년 입춘 이틀 전에 쓰다(甲子立春前二日)
은거처에 막 여름비가 개어(幽居初夏雨霽)
초여름의 은거지(初夏幽居)
보리가 익어 시장 쌀값이 싸지고 이웃의 병자도 모두 나아 기뻐 쓰다(麥熟市米價減, 鄰里病者亦皆愈, 欣然有賦)
은거처의 초여름(幽居初夏)
오월 초여름에 병든 몸이 가벼워져 우연히 쓰다(五月初夏, 病體輕偶書)
여름날 2수(夏日二首)
가을비 막 개어(秋雨初晴)
시골집의 가을(村居秋日)
가을 저녁의 감회를 쓰다(秋晩書懷)
집 북쪽으로 식후 산책하며 눈에 보이는 대로 쓰다(舍北行飯書觸目)
겨울 맑은 날에 한가로이 유람하며 우연히 쓰다(冬晴日得閑遊偶作)
겨울 맑은 날에 동촌을 한가로이 거닐다 옛 연못 길로 집에 돌아와(冬晴閑步東村, 由故塘還舍)
십이월 팔일에 걸어서 서촌에 이르러(十二月八日步至西村)
밤비(夜雨)
신년에 감회를 쓰다(新年書感)
인일의 눈(人日雪)
가을비(秋雨)
가을비에 북사에서 쓰다(秋雨北榭作)
봄비(春雨)
비(雨)
가랑비 막 개어(小雨初霽)
약간 술 마시며 매화 아래에서 쓰다(小飮梅花下作)
육일에 구름이 겹겹하여 눈 올 기운이 있어 홀로 술 마시다(六日雲重有雪意獨酌)
작은 뜰에서 홀로 술 마시며(小圃獨酌)
술 대하고(對酒)
취중에 스스로에게 주다(醉中自贈)
매화(梅花)
11월 8일 밤에 등불 아래에서 매화를 대하고 홀로 술 마시니, 여러 날을 매우 수고하여 이에 스스로를 위로한 것이다(十一月八夜, 燈下對梅獨酌, 累日勞甚頗自慰也)
순수재가 납매 열 가지를 보내왔는데 매우 빼어나 이것을 위해 이 시를 쓰다(荀秀才送蠟梅十枝, 奇甚爲賦此詩)
번강에서 매화를 보며(樊江觀梅)
매화 4수(梅花四首)
연의정에서 매화를 감상하며(漣漪亭賞梅)
사적산에서 매화를 보며 2수(射的山觀梅二首)
뜰에서 매화를 감상하며 2수(園中賞梅二首)
매화(梅)
눈(雪)
눈이 내리고 매우 추워 쓰다(作雪寒甚有賦)
눈 2수(雪二首)
대설(大雪)
눈 속에서 쓰다 2수(雪中作二首)
동산에 올라(登東山)
암자 벽에 쓰다(題菴壁)
산행하다 스님의 암자를 지났으나 들어가지 않아(山行過僧庵不入)
한가한 중에 일을 쓰다 2수(閑中書事二首)
궁벽한 거처(窮居)
서쪽 창(西窗)
논갈이가 끝나고 우연히 쓰다(耕罷偶書)
작은 집(小築)
이웃집을 지나며 놀이 삼아 쓰다(過隣家戱作)
이웃에게 쓰는 편지(簡鄰里)
놀이 삼아 한적함을 노래하다(戱詠閑適)
한가한 중에 자못 스스로 즐거워 놀이 삼아 써서 객에게 보이다(閑中頗自適戱書示客)
은거하며 일을 쓰다 4수(幽居述事四首)
두숙고 수재가 눈비 속에서 찾아와 하룻밤 머물렀다가 헤어지니 이 시를 낭송하여 그를 전송하다(杜叔高秀才雨雪中相過, 留一宿而別, 口誦此詩送之)
상고산의 주관으로 부임했다가 도성으로 돌아가는 진회숙을 전송하며(送陳懷叔赴上皐酒官, 却還都下)
임이중 태감을 전송하며(送任夷仲大監)
분을 쓰다 2수(書憤二首)
아마도 나와 나이가 같은 동 도인에게 드리다(贈童道人蓋與予同甲子)
서 상사에게 드리다(贈徐相師)
초상화가에게 드리다(贈傳神水鑑)
뒤늦은 탄식(後寓歎)
막 돌아와 여러 일을 읊다 2수(初歸雜詠二首)
구당에 홀로 앉아 번민을 풀어내어(龜堂獨坐遣悶)
흥을 보내어(遣興)
흥을 쓰다(書興)
서재 벽에 쓰다(書齋壁)
흥을 보내어 2수(遣興二首)
잡흥(雜興)
엄주에서 강매산에게 드리다(嚴州贈姜梅山)
강매산에게 뢰(雷) 자 운의 시를 부쳐(寄姜梅山雷字詩)
병이 나아(病愈)
약간 병이 났다가 이틀 만에 나아(小疾兩日而愈)
진부경 선생께서 양절전운사 시험관으로 계셨는데, 당시 진 승상의 손자가 우문전 수찬으로서 응시하니 진 승상이 다만 장원으로 뽑으려 하였다. 선생께서 나의 글을 보시고 1등으로 발탁하니 진 승상이 크게 노하였다. 나는 이듬해 이미 드러났다가 쫓겨났고, 선생 또한 여러 번 위기에 빠지셨다가 우연히 진 승상이 죽어 마침내 그쳤다. 내가 만년에 옛 책을 정리하다가 선생의 수첩을 얻어 옛날을 회상하고 시를 써 그 일을 기록하니, 나도 모르게 노쇠한 눈물이 모였다(陳阜卿先生, 爲兩浙轉運司考試官, 時秦丞相之孫以右文殿修撰來就試, 直欲首選. 阜卿得予文卷, 擢置第一, 秦氏大怒. 予明年旣顯黜, 先生亦幾陷危機, 偶秦公薨遂已. 予晩歲料理故書, 得先生手帖, 追感平昔, 作長句以識其事, 不知衰涕之集也)
눈 오는 밤에 옛날을 느껴(雪夜感舊)
옛날을 생각하며(憶昔)
촉의 꿈을 꾸어(夢蜀)
호수에서 도옹을 만났는데 파협 땅에서 옛날 알던 사이였다(湖上遇道翁, 乃峽中舊所識也)
도사들에게 드리다(贈道流)
지은이
육유 陸游, 1125~1209
남송(南宋)의 시인으로, 자(字)는 무관(務觀)이고 호(號)는 방옹(放翁)이며 월주(越州) 산음(山陰, 지금의 절강성(浙江省) 소흥시(紹興市)) 사람이다.
이른바 남송사대가(南宋四大家)의 한 사람으로서 남송의 시단을 대표하는 시인이자, 평생 일만 수에 달하는 시와 우국의 열정으로 가득한 시편으로 인해 중국 최다 작가이자 대표적인 우국 시인으로서의 명성을 지니고 있다. 풍부한 문학적 소양과 방대한 지식, 부단하고 성실한 창작 태도 등을 바탕으로 시집 『검남시고(劍南詩稿)』 85권 외에 『위남문집(渭南文集)』 50권, 『남당서(南唐書)』 18권, 『노학암필기(老學庵筆記)』 10권, 『가세구문(家世舊聞)』 등 시와 산문, 역사 방면에 있어서도 많은 저작들을 남기고 있다.
옮긴이
주기평 朱基平, Ju Gi-Pyeong
호(號)는 벽송(碧松)이다.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석사,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의 책임 연구원과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의 객원 연구원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서울대와 서울시립대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육유시가연구』, 『조선 후기 유서와 지식의 계보학』(공저), 역서로 『향렴집』, 『천가시』, 『육유사』, 『육유시선』, 『잠삼시선』, 『고적시선』, 『왕창령시선』, 『당시삼백수』(공역), 『송시화고』(공역), 『악부시집ㆍ청상곡사』(공역)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