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Close

출간 도서

도서 상세보기

뒤로가기
명청시기 예수회 선교사 한학의 사(史)
저자 장시핑 역자/편자 전홍석 편역
발행일 2024-07-25
ISBN 979-11-5905-948-3 (93910)
쪽수 736
판형 152*223 무선
가격 49,000원
서점 바로가기

명청시기 동서양 문명교류 이해의 제고

16~18세기 동아시아에 온 유럽 예수회 선교사 지식인들은 최초 동서양 간 문명의 지성적 인식시대를 이끈 동서양 문명교류의 한복판에 위치한다. 당시 유럽 라틴어·기독교 문명권의 동양 학문이나 동아시아 한문·유교문명권의 서양 학문은 모두 이들의 저역서가 쌍방향적 문화운반체 구실을 했다. 선교사의 저역서는 동서양 중세 공동문어(라틴어·한문)로 각각 집필·전달되었기 때문에 그 영향은 두 문명권의 동문(同文)세계 전역을 망라한다. 따라서 이들의 동·서양어 문헌은 매우 중요한 사료적·학술적 가치를 지닌다고 할 것이다. 그것은 지구화 초기 인류문명(문화)교류사의 진귀한 보고로서 동서 문명이 처음 만났을 때의 대화와 교류, 그리고 두 문명이 서로에게 귀감이 된 풍부한 성과를 말해준다.

금번에 출간된 『명청시기 예수회 선교사 한학의_史(역사)』는 동서양 양대 문명권인 중국과 유럽 간 문화교류의 초기 역사를 체계적으로 설명한 거작이다. 본서의 저자 장시핑(張西平) 선생이 『한국어판 저자 서문』에서 말한 바와 같이, 이 역사시대에는 서양의 문화가 중국에 전래됨(西學東漸)과 동시에, 또한 중국의 문화가 유럽에 전파되어(東學西傳) 18세기 유럽의 중국 열풍(中國熱)을 고조시켜 서양 초기 한학(漢學)이 흥성했다. 이 역사는 동서양 공동의 문화유산이며 이미 글로벌화된 오늘날 이 역사를 되돌아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본 저서에서 다룬 역사가 중국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전체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이 책이 한국에서 출판되는 것은 값진 일이다.

특히 예수회원으로 대표되는 내화(來華) 유럽 선교사들이 남긴 방대한 한문 작품들은 동아시아의 근대적 사유의 발단, 근대사상의 발생과정을 새로운 시각에서 이해하는 데 극히 중요한 학술적 토대이다. 명청시기 서양 선교사 지식인들이 동아시아의 다양한 사회적 층위에서 상호작용한 역사적 사건이나 그 결과로서의 한문 문헌은 동아시아의 근대사, 근대문화의 탄생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그러므로 근대화와 관련된 역사동학(the dynamics)의 주요한 자원으로서 내화 선교사들의 서구 지식체계의 계보학적 소개는 동아시아 근대사회로의 이행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이는 동아시아 근대화의 장구한 궤적을 설명해주는 소중한 문화자원이자 사상적 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선교사들의 한적(漢籍)이 지역사와 지구사를 포괄한다는 점에서 그에 관한 연구는 글로컬(glocal, 지구지역적) 한국학의 지반을 조성하는 데도 일조할 것이다.

 

새로운 역사·문화 지형의 동서교류사 연구자료 제공

최근 중국학계에서는 로마 교황청 바티칸도서관(Biblioteca Apostolica Vaticana)과의 국제 교류 협력을 통해서 『바티칸도서관 소장 동서문화교류사 문헌총서(梵蒂冈图书馆藏明清中西文化交流史文献丛刊)』라는 도서명으로 아직 공개되지 않은 방대한 자료들을 영인, 발간하고 있다. 유럽이 소장하고 있는 대량의 한적은 돈황 문헌과 바티칸도서관 문헌이 대표적이다. 그 가운데서도 후자가 수량이 가장 많고 저본으로서도 최상이다. 또한 명청시대 동서양의 문명(문화)교류사를 이해하는 데도 매우 중요한 문헌적 사료와 학술적 연구 가치를 지닌다. 그런데 이 문헌총서의 학술 사업을 이끈 장본인이 바로 현 중국의 대표적인 해외한학 이론가인 장시핑 선생이다.

역자 전홍석 교수는 이 학술 분야의 초기 개척 저작인 『중국사상이 유럽문화에 끼친 영향(中國思想對於歐洲文化之影響)』(朱謙之, 1940)을 번역해서 한국학계에 큰 도움을 준 바 있다. 이번에 내놓은 『명청시기 예수회 선교사 한학의_史』는 이 분야의 학술적 후계자인 장시핑 선생의 대표 저작 『유럽 초기 한학사-동서양 문화교류와 서양 한학의 흥기(歐洲早期漢學史-中西文化交流與西方漢學的興起)』(2009, 中華書局)에 대한 한국어 판본이다. 본서는 이 중문 원서 중에서 문헌학상 한국 내 연구가 비교적 취약한 한문 문헌과 관련된 내용들을 선별해서 편역한 것이다. 이 책을 통해서 독자들은 바티칸도서관 문헌이 전하는 인문, 종교, 문화, 사회, 사상, 과학, 기술, 외교, 문학, 언어, 번역, 예술, 지도 등 국내에 아직 소개되지 않은 동서대화와 교류의 생생한 역사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특기할 사항으로 이 책은 내화 예수회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서양 한학의 형성과 발전을 조명하고 재현하면서 마지막 장에서는 그들의 한문 작품에 대한 종합적인 정리를 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에서 선교사들의 한학이라고 부르는 작품, 즉 한문 서학서에 대한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에게는 너무도 큰 선물이자 향후 연구를 위한 큰 안내서가 될 만한 책이다(한국교회사연구소장 조한건 신부).” 또한, “명청시기 중국과 유럽이 주축이 된 동서교류는 조선에, 특히 한국 천주교의 역사에서 중대한 역할을 했다. 이와 관련된 연구성과가 미비한 한국의 역사학계에 이 저서는 큰 가치와 의미를 지니고 있음이 분명하다(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장 김일두 신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