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Close

출간 도서

도서 상세보기

뒤로가기
황정견시집주 13
저자 황정견 역자/편자 박종훈, 박민정, 이관성
발행일 2024-08-15
ISBN 979-11-5905-927-8 (94820)
쪽수 310
판형 152*223 양장
가격 23,000원
서점 바로가기

송시다운 시가 시대, 그 중심에 있던 황정견

송나라는 개국(開國) 왕조인 태조부터 인종조(仁宗朝)를 거치면서 만당(晩唐)·오대(五代)의 장기간 혼란했던 국면이 정리되어 나라가 안정되었고, 백성들의 생활환경 또한 비교적 안정을 찾게 되었다. 전대(前代)의 가혹했던 정세가 완화됨에 따라 농업이 급속도로 발달하였고, 안정된 농업의 경제적 기초 위에서 상공업이 번창하고, 번화한 도시가 등장하는 등 사회 전반에 걸쳐 전대에 비해 상당한 풍요를 구가하게 되었다. 이처럼 사회 전체가 안정되고 발전함에 따라 일반 백성들은 단조로운 것보다 복잡하고 화려한 것을 추구하게 되었다. 시대적·사회적 환경은 곧 문학 출현의 배경이고, 문학은 사회생활이 반영된 예술이라고 할 만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유협(劉勰)이 “문학의 변천은 사회 정황에 따르다[文變染乎世情, 興廢繫乎時序]”고 한 것처럼, 사회의 각종 요인은 문학적 현상을 결정하기 때문에 이러한 요소의 변화는 필연적으로 문학 풍조의 변혁을 동반한다. 송초 시체(詩體)의 변천은 이러한 사실을 보여주는 객관적인 증거이다. 특히 송대에는 일찍부터 학문이 중시되었다. 이는 주로 군주들의 독서열과 학문 제창으로 하나의 사회적 풍조로 자리 잡게 되어 송대의 중문중학(重文重學)적 분위기가 마련되었다. 

황정견은 바로 이때 전성기를 구가하여 북송(北宋)을 대표하는 시인이다. 중국시가의 최고 전성기라 할 수 있는 당대(唐代)를 뒤이어 등장한 북송의 시인들에게는 당시에서 벗어난 송시만의 특징을 만들어 내야 하는 일종의 숙명이 있었다. 이러한 숙명은 북송 초 서곤체에 의해 시도되었으며 북송 중기에 이르러 비로소 송시다운 시가 시대를 풍미하기에 이르렀다. 황정견이 그 중심에 있었다. 

 

후대까지 영향을 미친 황정견의 시론

황정견은 시를 지을 때 시의 표현을 다지고 시법을 엄격히 지켜 한 마디 한 글자도 가벼이 쓰지 않았다. 황정견은 수많은 대가들을 본받으려고 했지만, 그중에서도 두보(杜甫)를 가장 존중했다. 황정견은 두보 시의 예술적인 성취나 사회시(社會詩) 같은 내용 측면에서의 계승보다는, 엄정한 시율과 교묘(巧妙)한 표현 등 시의 형식적 측면을 본받으려 했다. 황정견 시론의 요점을 정리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첫째, 시의 조구법(造句法)으로서의 환골법(換骨法)과 탈태법(奪胎法)이다. 이에 대해 황정견은 “시의 의미는 무궁한데 사람의 재주는 한계가 있다. 한계가 있는 재주로 무궁한 의미를 좇으려고 하니, 비록 도잠과 두보라고 하더라도 공교롭기 어렵다. 원시의 의미를 바꾸지 않고 그 시어를 짓는 것을 환골법이라고 하고, 원시의 의미를 본떠서 형용하는 것을 탈태법이라고 한다[詩意無窮, 而人才有限. 以有限之才, 追無窮之意, 雖淵明少陵, 不得工也. 不易其意而造其語, 謂之換骨法. 規摹其意而形容之, 謂之奪胎法]”(『시인옥설(詩人玉屑)』)라고 한 바 있다. 이로 보건대, 황정견이 언급한 환골법은 의경을 유사하게 하면서 어휘만 조금 바꾼 것을 일컫고, 탈태법은 의경을 변형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진부한 표현이나 속된 말을 배척하고 특이한 말과 기이한 표현을 추구했다. 구체적으로는 술어를 중심으로 평이한 글자를 기이하게 단련(鍛鍊)시켰고 조자(助字)의 사용에 힘을 특히 기울였으며, 매우 궁벽하고 어려운 글자를 사용했고 기이한 풍격을 형성하기 위해 전대(前代) 시에서 잘 쓰지 않던 비속(非俗)한 표현을 시어로 구사하여 참신한 의경을 만들어내곤 했다. 

셋째, 전고(典故)의 정밀한 사용을 추구했다. 이는 황정견 시론의 “한 글자도 유래가 없는 것은 없다[無一字無來處]”와 연관된다. 강서시파는 독서를 중시했는데, 이것은 구법의 차원에서 전대 시의 장점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지만, 이는 전고의 교묘(巧妙)한 활용이라는 결과로 표현되기도 했다. 그러면서 전인의 전고를 그대로 답습하지 않고 자신의 의도에 맞게 변용했다.

이와 같은 황정견의 창작법에 대해 부정적 평가도 적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부정적 평가는 황정견 시의 파급력에 대한 반증이기도 하다. 황정견을 중심으로 한 강서시파가 당대(當代)는 물론 후대 및 조선의 문인들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황정견의 시를 세밀히 소개하다

황정견은 현존하는 가장 공신력 있는 중화서국(中華書局)본에 따르면 총 1,916수의 시 작품을 남겼다. 북경(北京) 중화서국(中華書局)에서 2007년에 출간한 전 5책의 『황정견시집주』에는 총 1,260제(題) 1,916수(首)의 시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황정견 작품의 구절 및 시어(詩語) 하나하나가 갖는 전례와 창작배경 그리고 구절의 의미 및 전체적인 의미를 상세하게 주석을 통해 소개해, 황정견 작품의 세밀한 이해를 돕고 있다. 이 책에서는 『황정견시집주』에 소개된 모든 주석을 꼼꼼하게 번역하였으며, 주석의 내용을 시의 자구(字句) 해석에 최대한 반영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황정견 시가 워낙 난해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주석이 시 본문과 어떤 연계성이 있는지조차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도 있었다. 이러한 경우에도 연결 관계를 최대한 찾아 시 본문 번역에 녹여내고자 노력하였다.

황정견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황정견 시 작품에 대한 전체적인 번역이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구체적인 실상의 일면만을 위주로 하거나 혹은 피상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이에 상세한 주석을 통해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는 『황정견시집주』에 대한 완역은, 부족하나마 후학들에게 황정견 시를 이해하기 위한 초석을 다지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해제

황진시집주서

 

황정견시집주

산곡시외집보

산곡시외집보권제일(山谷詩外集補卷第一)

1. 유수(流水)

2. 호랑이가 남산에서 울부짖다(虎號南山)

3. 국화를 따다(采菊)

4. 날이 선선하기 시작하니 동학에게 보이다(新涼示同學)

5. 산가에서 묵으며 맹호연의 시체를 본떠 짓다(宿山家效孟浩然)

6. 병들어 게으르다(病懶)

7. 영탕문의 방에서 묵다(宿靈湯文室)

8. 장난삼아 여러 벗에게 주다(戲贈諸友)

9. 낮잠(午寢)

10. 서 씨의 고모 수안군의 수매정에 제하다(題徐氏姑壽安君壽梅亭)

11. 숙부의 대원가에 차운하다(次韻叔父臺源歌)

12. 식서암(息暑巖)

13. 박산대(博山臺)

14. 심양강 어귀에서 삼일 동안 바람에 막혀 있었다(潯陽江口阻風三日)

15. 백 리 대부의 무덤을 지나다(過百里大夫冢)

16. 포성 도중에 그리운 백씨에게 부치다(蒲城道中寄懐伯氏)

17. 뱃사공(舟子)

18. 어진 이를 생각하다(思賢)

19. 만위(漫尉)

20. 밭을 감독하다(按田)

21. 석성으로 돌아가는 소 태축을 전송하다(送蘇太祝歸石城)

22. 계장에게 보내다(寄季張)

23. 진공익에게 주다(贈陳公益)

24. 장차 섭현으로 돌아가려 할 때 먼저 명복과 계상에게 부치다(將歸葉先寄明復季常)

25. 송중모를 전송하다(送張仲謀)

26. 「군자는 하늘의 운행을 본받는다」는 시에 상정하여 짓다 (擬君子法天運)

27. 상가행. 4수(傷歌行. 四首)

28. 「행행중행행」을 지어 이지의에게 주다(行行重行行贈別李之儀)

29. 봄 생각(春思)

30. 공익의 「춘사」에 장난스레 답하다. 2수(戲答公益春思. 二首)

31. 뭇사람이 광대를 보다(衆人觀俳優)

32. 임공점의 「감매화십오운」에 차운하다(次韻任公漸感梅花十五韻)

33. 왕회지가 보내준 시에 답하다(答王晦之見寄)

34. 연평에 있는 그리운 남육에게 부치다(寄懷藍六在延平)

35. 초준명을 전송하다(送焦浚明)

36. 신채에서 남으로 돌아가는 객을 전별하다(新寨餞南歸客)

37. 새벽에 일어나 여수를 바라보며(曉起臨汝)

38. 염구인에게 답하다(答閻求仁)

39. 낙양으로 돌아가는 진계상을 전송하다(送陳季常歸洛)

40. 비가 개어 석당을 지나다가 유숙하고서 공봉 대중에게 주다(雨晴過石塘留宿贈大中供奉)

41. 설낙도의 시에 차운하여 답하다(次韻答薛樂道)

42. 진계장에게 장난삼아 주다(戲贈陳季張)

43. 진 씨에게 시집 간 누이와 헤어지며 주다(寄別陳氏妹)

44. 왕회지에게 장난삼아 주다(戲贈王晦之)

45. 숭덕 죽묵가를 보다(觀崇德墨竹歌)

46. 진 소현을 전송하다(送陳蕭縣)

47. 벼슬에서 물러난 왕 전승의 소요정에서(致政王殿丞逍遙亭)

48. 공석으로 올라가는 하군용을 전송하다(送何君庸上贛石)

49. 그리운 봉의 조정부에게 보내다(寄懐趙正夫奉議)

50. 4월 정묘일에 빗속에서 조정부에게 부치다(四月丁卯對雨寄趙正夫)

 

산곡시외집보권제이(山谷詩外集補卷第二)

1. 진계장의 북헌 앵화를 읊다(賦陳季張北軒杏花)

2. 남쪽으로 돌아가는 포원례를 전송하다(送蒲元禮南歸)

3. 자리에 나아가며(卽席)

4. 이언심에게 주다(贈李彦深)

5. 장중모와 진순익 형제에게 다시 화운하여 답하다(再和答張仲謀陳純益兄弟)

6. 성남에서 술을 마시며 즉흥적으로 짓다(飲城南卽事)

7. 선구 집에서 눈을 읊다(宣九家賦雪)

8. 아우의 「중추월」에 화운하다(和舍弟中秋月)

9. 세필의 「중추월영회」에 화운하다(和世弼中秋月詠懷)

10. 상보와 세필 두 사람이 추관을 싫어하여서 애초부터 울울하여 불평하였으므로 내가 시를 지어 군자가 옳고 그른 일에 대처한 것에 대해 많이 언급하였다(次韻答常甫世弼二君不利秋官鬱鬱初不平 故予詩多及君子處得失事)

11. 숙천을 맡아 떠나는 위유지 군을 전송하다(送魏君俞知宿遷)

12. 추회. 2수(秋懷. 二首)

13. 이문백의 「서시」에 화운하다. 5수(和李文伯暑時. 五首)

14. 전 씨 집안 첫 번째 고경을 전송하다(送錢一杲卿)

15. 도를 보다. 2편(觀道二篇)

16. 송성의 수령으로 가는 중윤 송황을 전송하다(送朱貺中允宰宋城)

17. 채로 돌아가는 순부를 전송하다(送醇父歸蔡)

18. 일곱 번째 형이 청양역 서조수에서 보낸 시에 차운하다 (次韻七兄靑陽驛西阻水見寄)

19. 술을 들어 세필과 이별하다(酌別世弼)

20. 정회가 큰 벼루를 주다(庭誨惠鉅硯)

21. 숙회가 이전부터 불렀는데 호상에서 유람하였기에 결국 가지 못하였다(叔誨宿邀 湖上之遊以故不果往)

22. 자진의 「회영원묘하지정」에 차운하다(次韻子眞會靈源廟下池亭)

23. 기복이 『장자』를 읽기에 장난삼아 주다(幾復讀莊子戲贈)

24. 탄부가 고맙게 보내준 장구에 차운하다(次韻坦夫見惠長句)

25. 신사사 승의 「태강전사상봉」에 화운하고 아울러 부구 정태승, 위 씨 손 저작랑에게 보내다(奉和愼思寺丞太康傳舍相逢 幷寄扶溝程太丞尉氏孫著作二十韻)

26. 진 씨 다섯 번째 어른의 「상압사사이화」에 차운하다(次韻晉之五丈賞壓沙寺梨花)

27. 왕 도제 사승이 허도녕의 산수도를 보고 지은 시에 답하다(答王道濟寺丞觀許道寧山水圖)

28. 왕희숙의 당본초서가를 보다(觀王熈叔唐本草書歌)

29. 의고잡언(擬古雜言)

30. 「고호협행」을 지어 위린기에게 주다(古豪俠行贈魏鄰幾)

31. 얽매인 선비가 대도를 비웃다(拘士笑大方)

32. 의고악부 「장상사」를 지어 황기복에게 부치다(擬古樂府長相思寄黄幾復)

33. 고악부 백저사시가(古樂府白紵四時歌)

34. 한신(韓信)

35. 회음후(淮陰侯)

36. 안합(顔闔)

37. 희효에게 주다(贈希孝)

38. 후원공이 강학의 뜻을 묻다(侯元功問講學之意)

39. 장난삼아 장숙보에게 주다(戲贈張叔甫)

40. 우군의 글씨 두어 종을 구 십사에게 주다(以右軍書數種贈邱十四)

41. 이황 군이 자신의 조부 서대학사의 초서 글씨와 서첩 한 권과 세 축을 보여주기에 시를 지어서 돌려주다(李君貺借示其祖西臺學士草聖幷書帖一編三軸以詩還之)

42. 삼지당(三至堂)

43. 옥조천(玉照泉)

44. 연수사 승소헌이 대단히 소쇄하기에 내가 임낙이라 명명하였으니, 이는 장자가 말한 ‘갖가지 수풀이 한데 어울려 노래하므로 형체가 없다’는 말에서 취한 것이다. 아울러 시를 지었다(延壽寺僧小軒極蕭灑 予爲名曰林樂 取莊生所謂林樂而無形者 幷爲賦詩)

45. 길노가 고맙게도 이북해 석실비를 보내주기로 하여 시로써 재촉하다(吉老許惠李北海石室碑 以詩促之)

46. 길노가 두 번 화답하기에 장난삼아 답하다(吉老兩和示戲答)

47. 나산인 박휘루에 제하다(題羅山人覽輝樓)

48. 고풍으로 지어 주원옹에게 보내다(古風寄周元翁)

49. 서선에서 대도사가 거문고 타는 것을 듣다(西禪聽戴道士彈琴)

50. 안석 석류 두 잎에 제하다(題安石榴雙葉)

51. 절구(絶句)

52. 건주 동선원조사가 새로 지은 어서각에 제하다(題䖍州東禪圎照師新作御書閣)

53. 의춘으로 돌아가는 권군과 손승의를 전송하다(送權郡孫承議歸宜春)

54. 장난삼아 짓다(戲題)

55. 무오일 밤에 보석사에 유숙하다가 보석을 보고 장난삼아 읊다(戊午夜宿寶石寺視寶石戲題)

56. 승천사 법당 앞 잣나무를 장난삼아 읊다(戲題承天寺法堂前栢)

57. 진길노 현승과 동지 명의 아우가 청원에서 노닐다가 사선사를 찾아갔는데, 나는 부령으로 가지 못하였다. 두 공이 비로 인해 오랫동안 돌아오지 않자 장난삼아 이십 운의 「백가의」 한 수를 지어 불렀다(陳吉老縣丞同知命弟游靑原謁思禪師 予以簿領不得往 二公雨久不歸 戲作百家衣一首二十韻招之)

58. 길노와 함께 청평주를 마시며 장난삼아 집구시를 짓다(同吉老飲淸平戲作集句)

59. 공문거가 유성공에게 준 시를 본떠 짓다. 3수(效孔文舉贈柳聖功. 三首)

60. 약명시를 지어 청강으로 부모님을 뵈러 가는 영자문을 전송하다(藥名詩 奉送楊十三子問省親淸江)

61. 친 아우의 「희우」에 차운하다(次韻舍弟喜雨)

62. 하표 군의 「감고총」에 답하다(答何君表感古冢)

63. 회계 죽맹에서 기춘의 부위를 위해 짓다(會稽竹萌爲蘄春傅尉作)

64. 같은 해 과거에 합격한 심보 형의 시권을 돌려주다(還深父同年兄詩卷)

65. 종여위가 초여름에 보내 준 시에 차운하여 답하다(次韻答宗汝爲初夏見寄)

66. 주덕부가 보낸 시에 답하다(答周德夫見寄)

67. 「초은」을 지어서 이원중에게 보내다(招隱寄李元中)

68. 조도부의 숙질을 전송하다(送晁道夫叔侄)

69. 장난삼아 반공봉에게 주다(戲贈潘供奉)

70. 차운하여 범생을 애석하게 여기다(次韻惜范生)

71. 진사 시험 본 면중관에 화운하다(和冕仲觀試進士)


저자

황정견/ 북송(北宋)을 대표하는 시인


역자

박종훈 朴鍾勳, Park Chong-hoon

지곡서당(芝谷書堂)에서 한학(漢學)을 연수했으며, 조선대학교 국어국문학부(고전번역전공)에 재직 중이다.

박민정 朴玟貞, Park Min-jung

고려대학교에서 중국고전시 박사학위를, 중국저장대학(浙江大學)에서 대외한어교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세종사이버대학교 국제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관성 李灌成, Lee Kwan-sung

곡부서당에서 서암 김희진 선생에게 한문을 배웠다. 현재 퇴계학연구원에 재직 중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