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Close

출간 도서

도서 상세보기

뒤로가기
근대라는 외장
근대소설과 유행의 사회학
저자 류수연 역자/편자
발행일 2025-07-25
ISBN 979-11-5905-483-9 (93810)
쪽수 233
판형 140*210 무선
가격 19,000원
서점 바로가기

'근대'는 일제강점기 전체를 관통하는 시대적 목표이자 망국의 비극에서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동아줄처럼 여겨졌다. 근대적 외장(外裝)에 대한 집중은 바로 여기서 시작된다. 근대적 외장은 단지 단순한 치장이 아닌, 삶의 방식의 변화와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근대인의 일상을 이끌었던 실질적인 동력이 무엇인가를 탐색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 책은 문화적 확산의 기원인 근대 초기의 담론을 되짚어보고, 이를 오늘의 한국문학 연구 안에서 현재화하고자 했다.

 또한 오랫동안 한국문학 안에서 소외된 문화영역이었던 미용의 문제를 수면 위로 이끌어내, 근대 이후 실질적으로 여성문화를 이끌어온 미용담론에 대한 외면을 마주한다. 근대미용의 여러 담론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근대문화의 중심지였던 경성의 소설지형도를 보다 감각적으로 사유하고자 하였고, 그로부터 근대라는 '첨단'의 이름 아래 등장한 모든 유행이 동시대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 책은 크게 3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저자는 근대 여성교양으로서의 미용과 패션을 살피고 있다. 근대 미용담론은 사실상 부녀를 대상으로 한 근대 교양의 일환으로서, 의식적인 목표 아래서 기획되고 확산되어왔으며 그것은 문학작품 속의 여성인물을 둘러싼 사회적 조건 속에 반영되었다. 저자는 근대 미용담론을 중심으로 이러한 문학적 변모가 당대 소설의 여성인물에 어떻게 투영되었는가를 살펴보고, 그것이 단지 외적인 변화가 아닌 내적인 변화까지 이끈 동력임을 확인하고자, 관련 연구에 주력하였다. 두 번째 항목은 근대 신체와 근대적 장소라는 가시적인 근대성에 주목하고 있다. 근대 미용담론은 결국 신체에 대한 관심에서 촉발된 것이었다. 이에 저자의 관심은 근대적 신체를 어떻게 규정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것으로 이어졌다. 세 번째 항목은 근대과학과 소설이다. 미용에서 신체로, 다시 전쟁으로 이어진 끝에서 발견되는 또 다른 욕망은 바로 근대과학이었다. 명실상부한 기계의 전투였던 제2차 세계대전은 식민지 조선의 작가들에게 새로운 꿈을 품게 만들었다. 이광수, 김남천의 작품을 통해 식민지기 조선의 지식인들에게 과학이 어떻게 받아들여졌는지를 살피고 있다. 

들어가며

 

제1부 근대 여성 교양으로서의 미용

제1장 단발에 매혹된 근대

제2장 현희운의 화장담론(化粧談論)

제3장 근대미용과 우생학

 

제2부 근대적 신체와 장소

제1장 운동회, 놀이의 근대성과 '몸'담론-김남천의 『대하』 연구

제2장 응접실, 접객(接客)공간의 근대화와 소설의 장소
-이광수의 『무정』과 『재생』을 중심으로

제3장 가정상비약, 총후보국(銃後報國)과 사적 간호의 확대

 

제3부 근대과학이라는 상상과 실재(實在)

제1장 실험실과 상상된 과학-이광수의 「개척자」 연구

제2장 기술자와 직업서사-김남천의 『사랑의 수족관』 연구

 

참고문헌

1920년대 후반부터 서서히 경성 거리에 등장하기 시작한 단발미인은, 1930년대가 되면 어느 정도 일상적인 존재가 되었다. 그것은 마침내 근대적 선택항으로서의 단발이 식민지 조선의 취향으로 자리잡았음을 방증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녀들에게 취향이라는 욕망을 심어준 매체를 주도한 것은 결국 식민지 지식인 남성들이었기에, 하나의 취향을 선택하기까지 그녀들이 겪었던 정치사회적 지향들은 오히려 외면되는 모순이 발생된다. 그들은 모던 걸의 단발을 여성 주체의 각성으로 인정하려고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 부재를 채운 것은 그들을 '단발미인'이라 호명하는 또 다른 타자, 지식인 남성들의 욕망이었다. - '단발에 매혹된 근대' 중에서

 

그런데 그보다 결정적인 사건이 하나 더 있다. 1930년대 후반 장편소설에서 운동에 재능을 가진 만능 스포츠맨형 남성 주인공들이 많이 등장할 수 있었던 배경, 거기엔 손기정 선수가 있었다. 바로 동아일보의 일장기 말소사건으로도 유명한, 손 선수의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금메달 획득이다. 이는 근대스포츠와 그 경연방식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이끌었고, 김남천은 『대하』에서 그러한 독자들의 기호를 적극 반영하였다. 달리기, 줄다리기, 기마전 등 운동회 종목에 대한 구체적인 룰과 경기과정을 세밀하게 묘사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올림픽의 꽃이라 할 수 있는 마라톤에서의 금메달 획득이 근대적 영웅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야를 제공한 것이다. -'운동회, 놀이의 근대성과 몸담론' 중에서

 

중앙시험소는 식민지 시기 조선에 설립된 유일한 공업 시험연구기관으로, 공업 종사자들이 의뢰한 공업원료를 분석, 시험, 감정하거나 공장을 방문하여 기술지도 및 강습 등의 사업을 전개했던 조선의 공업을 대표하는 하나의 상징적 존재이었다고 평가된다. 「개척자」가 발표된 시기가 1917년이고, 이 발표 시기를 기준으로 주인공 성재의 귀국 시기를 가늠해보면 1910년 무렵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성재라는 인물을 형상화할 수 있었던 배경은 분명해진다. -'실험실과 상상된 과학' 중에서

류수연 柳受延, Ryu Su-yun
문학, 문화평론가. 2013년 계간 『창작과비평』 신인평론상으로 등단했다. 전 인천문화재단 이사직을 맡았으며, 현재 인하대 프런티어창의대학 교수로 재직 중에 있다. 최근에는 문학 연구를 토대로 대중문화 연구와 비평으로 관심을 확대하고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