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Close

출간 도서

도서 상세보기

뒤로가기
한국 현대시의 리듬
저자 장철환 역자/편자
발행일 2023.04.30
ISBN 979-11-5905-769-4
쪽수 456
판형 152*223, 무선
가격 42,000원
서점 바로가기

현대시 리듬의 가능성에 대한 질문

저자는 이 책에서 다음과 같은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한다. 과연 자유시와 산문시가 주를 이루는 현대시에서도 리듬은 존재하는가, 존재한다면 한 편의 시에서 그것은 어떻게 직조되는가? 우리는 시적 언어가 ‘운율이 있는 언어’로 조직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여기서 운율은 압운(rhyme)과 율격(meter)을 일컫는다. 대부분의 현대시들은 이런 전통적인 의미의 압운과 율격을 지니고 있지 않다. 즉 현대시는 ‘운율이 없는 언어’로 조직되는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문제를 음운, 단어, 시행(line), 연(stanza)의 층위에서 의미, 형태, 음성의 여러 양상들을 살피고 있다. 특히 한국 현대시의 성립기인 20년대부터 성장기인 60~70년대까지 중요한 시인들의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현대시에서의 시적 리듬의 가능성을 직접 타진하고 있다.


한국 자유시에서의 리듬의 탄생과 성장

이 책의 제1부는 한국의 자유시에서 리듬이 어떻게 탄생ㆍ성립되었는지를 논구하고 있다. 한국 자유시 리듬의 실제적 양상에 대한 탐구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한국 현대시의 성립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던 김억, 한용운, 정지용, 김영랑의 시적 리듬을 본격적으로 고찰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시적 의미의 기저 층위에는 시적 언어의 리듬적 양상에 대한 적극적 고려와 배치가 내재해 있음을 규명하고 있다. 제2부는 한국 자유시 리듬의 실제적 양상에 대한 심화된 탐구로서, 한국의 자유시에서 리듬이 어떻게 확장ㆍ변주되었는지를 논구하고 있다. 이상, 서정주, 김수영, 김춘수의 리듬을 분석하고 있는데, 특히 이상 시의 리듬을 시각적ㆍ구문적ㆍ의미적 층위로 분별하고, 각각 ‘도상의 리듬’, ‘구문의 리듬’, ‘사유의 리듬’으로 나누어 살펴보는 점이 인상 깊다. 이 책의 제3부에서는 현대시의 리듬의 실제적 양상뿐만 아니라, 시적 리듬의 이론에 대해서도 탐색하고 있다. 내재율이라는 자유시의 리듬에 대한 인식이 언제ㆍ어떻게 정립되었는지를 해명하고, 김억 시론에서의 자유시형에서 정형시형(격조시형)으로의 전환이 리듬 개념과 언어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서 비롯함을 규명하고 있다. 이와 함께, 김기림의 모더니즘 시론에서의 시적 리듬과 김춘수의 무의미시론에서의 시적 리듬의 위상을 깊이 있게 고찰하고 있다.


새로운 리듬론의 정립 가능성

현대시에서 시적 리듬의 지표를 설정하는 것은, 시적 발화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시적 창조의 의의를 해명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작업의 일환으로서의 의의를 지닌다고 저자는 말한다. 또한, 시적 발화 및 시적 창조의 특수성을 해명하는 일이 다층적이고 복합적이기 때문에, 이 책의 대답이 정답이 될 수 없음을 역설하고 있다. 그러한 면에서 이 책은 아직 확증되지는 않았으나 새로운 리듬론의 정립 가능성을 타진하는 시론(試論)으로서의 의의와 한계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이 책이 최종적으로 제기하고 있는 새로운 시적 리듬의 개념과 지표의 정립이 향후 ‘시적 발화와 시적 창조의 가치’를 어떻게 보존하는지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인공지능이 본격적으로 창조의 영역에까지 발을 들이고 있는 시대에는 더욱 그러할 것이다.

서문 3


제1부 자유시 리듬의 태동과 성립 11

제1장 김억 시의 리듬 13

1. 시의 음악성 13

2. ‘정형定型’과 ‘자유自由’의 위상 16

3. 음절률-단일성의 원리 24

4. 호흡률-다양성의 원리 37

5. 정형과 자유의 복합체 44

제2장 한용운 시의 리듬 46

1. 『님의 침묵沈黙』과 리듬 46

2. 호흡의 분절과 마디의 단위 48

3. 호흡률의 양상 1-마디의 수와 휴지休止 52

4. 호흡률의 양상 2-마디의 크기와 호흡발산력 70

5. 『님의 침묵』 리듬의 의의 84

제3장 정지용 시의 리듬-음가의 반복을 중심으로 86

1. 시적 언어의 참신성 86

2. 음가音價의 반복 양상 89

3. 시적 리듬의 미적 가치 122

제4장 김영랑 시의 리듬 123

1. 서정성과 시적 리듬 123

2. 공명도共鳴度, sonority 분석의 의의 126

3. 초기 시의 공명도 분석 1-4행시의 경우 131

4. 초기 시의 공명도 분석 2-기타 시의 경우 136

5. 중기 시의 공명도 분석 144

6. 공명도 분석의 미적 가치 154



제2부 자유시 리듬의 확산과 변주 157

제1장 이상 시의 리듬 연구-『오감도烏瞰圖』를 중심으로 159

1. 기이한 리듬 159

2. 이상 시 리듬의 세 가지 양상 163

3. 개방과 폐쇄의 새로운 리듬 200

제2장 서정주 초기 시의 리듬 202

1. 『화사집花蛇集』의 리듬 202

2. 음운 층위의 리듬 분석 204

3. 시행line 층위의 리듬 분석 216

4. 구문론적 층위의 리듬 분석 227

5. 직정적 언어의 리듬 235

제3장 김수영 시의 리듬-4ㆍ19 혁명 이전 시기를 중심으로 237

1. 반복과 차이 237

2. 동일 구문의 반복 양상-2회 반복과 수미상관 242

3. 비동일적 반복의 두 가지 양상 249

4. 의미와 리듬의 관계 267

제4장 김춘수 시의 리듬 269

1. 무의미시와 리듬 269

2. 리듬 분석의 지표와 반복 271

3. 구름과 장미薔薇와 『늪』에서의 동어 반복의 양상 276

4. 구조적 리듬의 확산과 중층화 과정 281

5. 타령조 연작시 리듬의 세 가지 양상 292

6. 시적 리듬과 이미지 304



제3부 리듬론의 정립과 발전 307

제1장 1920년대 시적 리듬 개념의 형성과정 309

1. 시적 리듬의 개념 309

2. 자유시의 성립과 ‘내용-형식’의 이분법 311

3. 율격론의 확립-민요시론과 시조부흥운동 326

4. 율격론에서 새로운 리듬론으로 343

제2장 김억 시론의 리듬 의식 연구 345

1. 김억 리듬의 의식의 궤적 345

2. 자유시와 ‘내적 율동’의 출현 350

3. 민요시와 ‘민족적 시형’의 모색 358

4. 격조시와 ‘정형시형’으로의 귀환 366

5. 새로운 시형과 자유율의 실체 376

제3장 김기림의 모더니즘 시론에서 시적 리듬의 위상 378

1. 현대의 내적 리듬 378

2. 과거의 시와 새로운 시-‘신산문시’의 제창 381

3. 전체시론과 운문/산문의 이원론 389

4. 내재적 리듬의 두 양상-템포와 억양 400

5. 새로운 리듬 성립의 가능성 408

제4장 김춘수 시론에서의 리듬 의식 연구 410

1. 무의미시론과 시적 리듬 410

2. 시의 형태, 장르, 율격-음수율의 궤적 413

3. 관념, 대상, 의미-이미지에서 리듬으로의 전회 427

4. 내면의 리듬, 기교와 충동의 사이 440


참고문헌 443

찾아보기 450

가장 직접적이고도 명확한 영향은 상대적 장음화 현상, 즉 모음 길이의 상대적 증대에 있다. 예를 들어 “예젼엔”, “가쟈”, “밤즁에”, “죠고만”은 각각 [예저언엔], [가자아], [밤주웅에], [조오고만]으로 발음되는 것이다. 이러한 장음화 현상은 해당 부분의 의미를 강조하는 기능을 초래한다. 다시 말해 해당 부분을 길게 발음함으로써, 그 부분에 의미론적 강세를 부여하는 것이다. 위의 예의 경우 의미론적 강세는 각각 “-젼-”, “-쟈”, “-즁-”, “죠-”에 오게 된다. 바로 여기에 이중모음화 현상이 갖는 음조미의 독특성이 발원한다. 그것은 장음화가 해당 부분의 자음의 고유한 어세(語勢)를 강조함으로써, 해당 부분의 음조를 부각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중모음 “예젼엔, 가쟈, 밤즁에, 죠고만”을 단모음 “예전엔, 가자, 밤중에, 조고만”과는 다른 방식의 ‘어감과 율조’로 읽게 되는 것이다. (200쪽)

장철환 張哲煥, Jang Cheul-whoan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와 연세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고 있으며, 문학평론가로 활동 중이다. 논저로는 『김소월 시의 리듬 연구』, 『이상 문학의 재인식』(공저), 『돔덴의 시간』(평론집) 등이 있다. 최근까지 한국 근현대시가 지닌 다양한 리듬의 양상을 분별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리듬론의 가능성을 타진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