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Close

출간 도서

도서 상세보기

뒤로가기
은유로서의 똥
연암에서 퀴어, SF까지 한국문학의 분변학
저자 김건형,김용선,김철,박수밀,오성호,이경훈,이지용,정규식,정기석,한만수,황호덕 역자/편자 한만수 편
발행일 2023.11.10
ISBN 979-11-5905-827-1
쪽수 492
판형 152*223 무선
가격 37,000원
서점 바로가기

왜 똥과 문학인가?-‘밥-똥순환’의 차단과 감각의 차별적 배치

근대 이전 모든 문명권에서는 똥비료를 폭넓게 활용했다. 물론 똥독(毒) 등의 위험이 있으니 조심스럽게 다루어야 한다는 경험지(知)도 동시에 형성되었다. ‘밥-똥 순환’의 시기에 똥은 귀한 자원이면서 동시에 위험한 양가적 대상이었다. 뒷간의 신(측신: 廁神)을 섬기는 민간신앙은 바로 이 양가성(감사와 두려움)에 기반하는 것이었으리라. 점차 신분제 사회로 이행하면서 똥의 양가성 역시 특정 부류의 인간에게 나뉘어 배치되었다. 똥을 다루는 농부 등에게는 비천함이, 생산에서 면제된 귀족에게는 고상함이 각각 차별적으로 배정된 것이다. 

 

근대 들어서면 똥은 극적으로 비천화된다. 과학은 똥이 콜레라 등 각종 감염병의 원천임을 밝혀냈으니, 인간의 똥 1그램에는 1천만 개의 바이러스, 1백만 개의 박테리아, 1000마리의 기생충이 있다는 식이다. 똥비료는 화학비료로 대체되고, 수세식 화장실이 급속하게 보급되었다. 이런 변화를 먼저 이룬 서구인들은 제국주의 시대 비서구 지역으로 진출하면서 그곳의 똥더미들을 야만의 상징으로 여기게 된다. 동아시아지역은 똥비료를 활용하는 생태적 농법이 가장 활발했고 비교적 오래 유지되어왔지만, 서구인들의 비서구에 대한 야만화는 오늘 우리에게도 지배적인 인식이 되었다. 생태적 순환이 끊기면서 똥은 오염원으로 전락했으며 양가성을 잃고 비천화되었다. 우리가 매일 누는 똥은 이처럼 인류의 역사문화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1988년 서울올림픽을 계기로 한국에도 수세식 화장실이 본격 보급되었다. 오늘날 똥은 매끈한 흰 변기에 떨어뜨리면 그만인 쓰레기 정도로만 인식된다. 하지만 눈에 보이지 않게 해버린다고 모든 문제가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어떤 존재를 똥처럼 취급하면서 시각에서 차단시켜 버리는가. 그 감각은 어떻게 만들어졌으며 어떤 고정관념을 만드는가. 그것은 과연 정당한가. 감각의 차별적 배치는 사회적 차별을 즉각적으로 정당화하는 기제로서 매우 자주 활용되었으며, 문학작품은 이런 지점을 포착하는데 적절한 예술의 갈래이다. 이런 맥락에서 이 책은 근대화과정에 비천화된 똥이 한국문학에는 어떻게 재현되어 있으며 우리의 인식을 만들었는지를 따져 묻는다. 다소 앞질러 말해두자면, 한국문학은 지배적 고정관념에서 자유롭지 않으면서도 그 통념을 날카롭게 비판하고 반성하기도 했다. ‘똥 싸는 육체로서의 평등함’이라 할 만한 것이 그 핵심 중 하나이다.

감각은 즉각적이며 논리를 벗어난 곳에서 인식을 형성하며, 똥이란 대표적인 비천체로서 자주 소수자와 동일시되어 왔다. 따라서 문학 속의 똥을 점검하는 이 책은 소수자 연구에 의미 있는 진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 문학에서 똥의 재현은 어떻게 변화되어 왔나-고전문학에서 현대문학까지 시계열적 배치로 연구의 흐름 짐작하게

‘연암에서 SF·퀴어까지, 한국문학의 분변학’이라는 부제처럼 이 책은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을 주제론적으로 관통하는 바, 두 분야 사이의 장벽이 심화되어온 분과학문체제 속에서는 매우 이례적인 편집이다. 30대 소장학자에서 70대 원로까지 11명의 필자들이 다양한 시기와 작가를 대상으로 다양한 시각으로 접근하고 있지만, 개략적인 흐름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암 박지원의 조선후기에 한양 역시 다른 근대도시들처럼 인구집중에 따라 똥의 처리에 골머리를 앓았다. 넘쳐나는 한양의 똥을 모아 농촌으로 옮기는 똥장수가 나타나지만 사회적비천함의 대명사처럼 인식되었다. 실학파의 거두답게 연암은 「예덕선생전」에서 똥장수를 등장시키고 그들을 양반과 대비시킨다. 똥장수는 똥을 밥으로 순환시켜 세상을 이롭게 하며, 엄행수를 비천시하는 양반들이야말로 똥만도 못한 존재라는 식이다. 신분에 따라 귀하고 천함, 아름다움과 추함의 감각이 차별적으로 배치되는 지배적 인식을 역전시키는 것이다.

 

식민지시기 이광수, 김동인, 심훈, 김남천 등의 감옥 서사에 주목한 논문도 있다(황호덕, 한만수). 일본은 조선인을 ‘인간과 동물의 중간적 존재’로 야만화함으로써 식민지배의 정당화논리를 찾았는데, 감옥이란 똥과 인간이 잘 구분되지 않는 장소이니 이런 야만화에 적절한 장소였다. 감옥서사들은 똥은 비천화의 주요 기제로 활용되는 감옥의 현장을 적실하게 묘사하지만, 동시에 비천화를 숭고로 반전시키고 있다. ‘말하는 입’과 ‘먹는 입’, 그리고 ‘싸는 구멍’의 계서화 및 그 반전이 작품에서 어떻게 재현되었는지, 그리고 이광수와 다른 작가들의 감옥서사가 어떻게 구분되는가 등을 분석하는 것이다. 

똥냄새와 새 상품의 냄새를 비교한 논문도 흥미롭다. 자연, 빈곤층, 조선인 등은 후각적으로도 타자화되었고 이를 통해서 과학, 부유층, 일본인 등은 주체화되었음을 확인한다(이경훈). 감옥이나 도시를 배경으로 삼은 소설들의 이런 경향과는 달리 심훈의 『상록수』를 비롯한 농촌소설에서 두엄은 된장, 밥, 고향냄새 등과 동일시되면서 구수한 것으로 자주 등장한다. 이 시기 똥의 문학적 재현은 ‘불쾌’가 ‘쾌’보다 지배적이었는데 이는 위생관념과 화학비료가 점차 보급되는 상황이었다는 점, 특히 근대화에 대한 작가들의 열망과 관련될 것이다.

 

해방 이후 일본인/조선인 사이의 감각적 차별은 수그러들지만 민족 내부에서는 소수자들을 똥과 동일시하면서 비천화했던 지배자들의 은유체계는 여전했다. 문학은 여기에서 자유롭지 않으면서도 ‘너희야말로 똥이다’라는 식의 되받아쓰기를 구사하는 것이 대체적인 추세였다. 특히 민중문학에서는 ‘똥=적’의 동일시에 의존하는 이분법적 인식이 강력했는데, 이는 외부의 적을 통해 민족, 민중 등의 주체를 형성하는 과정이었고, 그 과정에서 여성 등의 또 다른 소외를 불러오기도 했다는 지적도 주목할만하다(김철). 

 

1980, 90년대 이후에는 생태주의, 도시문명 비판, 비인간(非人間)주체 등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똥의 재현은 상당한 변화를 보인다. 정호승의 시에서 똥은 육체를 정화하고 영혼을 비상시키는 성속(聖俗)의 교차점에 위치한 사물이라고 해석한다. 한편 최승호의 시에서 똥은 인간의 탐욕이 농축된 혐오스러운 것으로, 하얀색 도기 변기는 문명의 세련된 매혹과 공포를 동시에 상징하는 것으로 각각 그려진다(오성호). 최승호 시에서 배설물 등 아브젝트(abject)는 근대적 인간주체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폐기되고 억압된 것이라는 해석도 제기되었다(정기석). 인간/비인간, 생명/죽음의 이분법적 위계에 대한, 상품과 쓰레기를 동시에 양산하는 자본주의 등에 대한 해체적 비판이 이 작품들에서 강력하다는 것이다. 

시인 김현의 작품에 주목하여 퀴어가 똥이나 항문섹스와 연계되면서 비천화되는 과정을 분석하고 한국문학사 서술에서 정상가족의 이데올로기를 해체하는 작업도 흥미롭다(김건형). 김동인부터 김초엽까지 100여년의 SF를 점검한 논문도 있었다. 김동인의 「K박사의 연구」에서 똥을 식량으로 전환하는 모티프는 단순히 기발한 상상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구시대의 문제들을 서구과학에 의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형상화한 것이며, 최근의 SF들은 인류세 시대의 상상적 대안으로서 똥의 재자원화에 대한 상상력이 본격 대두된다는 지적이다(이지용). 

 

인문적 분변학(糞便學; Scatology) 3부작을 한국 최초로 완간-소수자 연구가 감각의 차원으로 확대되길 기대

 

분변학은 한국에서 매우 부진한 연구분야 중 하나로, 의학이나 환경공학 등 자연과학의 차원에서 조금씩 다루고 있을 뿐이었다. 이번에 발간되는 『은유로서의 똥』(한만수 편, 소명출판, 2023)은 『종교와 똥. 뒷간의 미학』(박병기 편, 씨아이알, 2023)과 거의 동시에 출간되는 바, 2년전 출간된 『똥의 인문학』(한만수 오영진 편, 역사비평, 2021)까지 포함하여 ‘똥 3부작’이 완간되는 셈이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할 만하다. 똥에 대한 인문학적 집중 점검으로는 한국 최초라 할 수 있다. 

 

‘똥 3부작’은 5년에 걸쳐 진행되었던 융복합 프로젝트 ‘사이언스 월든’(연구책임자 유니스트 조재원교수)에 크게 힘입은 것이었으니, 이 3부작에 수록된 논문들 거의 대부분은 이 프로젝트의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것이었다. 사이언스 월든 인문학팀장인 동국대 한만수 교수는 “분변학이란 연구자들에게도 워낙 낯선 주제인데다 학제적 접근이 필수적이므로 어려움이 적지 않았다. 연구에 동참할 분들을 모시기도 쉽지 않았고, 발표 전에 수차례 사전 집담회를 거쳐야 했는데 중도에 포기한 연구자들도 여럿이었다”면서 “소수자 연구가 감각적 차원에까지 활성화되기 위해서 분변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책머리에

 

김용선

‘분뇨서사’에 굴절된 대도시 한양의 팽창

 

박수밀

차등과 숭고미의 전복, 똥의 기호-연암 박지원의 ‘똥’을 중심으로

 

정규식

분뇨(糞尿)서사로 읽는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의 개혁사상

 

한만수

감옥 속의 똥-비천화된 자들은 어떻게 응수하는가-김동인의 「태형」을 중심으로

 

이경훈

냄새 맡는 인간, 냄새 나는 텍스트-한국 근대문학과 냄새

 

황호덕

변비와 설사, 전향의 생정치(生政治)-『무명無明』의 이광수, 식민지감옥의 구멍들

 

김철

똥 같은 괴물, 괴물 같은 똥-「분지」, 「똥바다」를 중심으로

 

오성호

똥과 한국시의 상상력-정호승과 최승호의 시를 중심으로

 

정기석

최승호 시에 나타나는 분변성에 대한 저급유물론적 접근-1980년대 최승호 시를 중심으로

 

김건형

역사의 천사는 똥구멍 사원에서 온다-김현론

 

이지용

한국 SF에서 똥/쓰레기가 가지는 의미

 

 

초출표기

필자소개


지은이(수록순)

김용선 金容仙, Kim Yong-sun

선문대학교 교양학부 강사이며 디지털 서울문화예술대학교 교양과정 외래교수이다. 동아시아고대학회 사업이사로 한양대에서 한국고전문학을 전공하고 「임거정 설화의 전승양상 연구」를 비롯 13편의 학술논문이 있다. 국악방송FM <연구의현장>에 게스트 출연, 어문생활, 시산맥, 쿨투라, 기획회의 등에 인문칼럼을 실었다. 옛이야기와 지금의 서사골목을 여행하는 민담학자이다. mazelduo@naver.com


박수밀 朴壽密, park Su-mil

한양대 연구교수이다. 현 온지학회 회장. 분과학문의 경계에서 벗어나 문학을 역사, 철학, 교육 등과 연계하는 통합의 학문을 추구한다. 『열하일기 첫걸음』, 『오우아(吾友我)』, 『청춘보다 푸르게 삶보다 짙게』, 『탐독가들』, 『고전필사』, 『연암 박지원의 글 짓는 법』 외 다수의 저‧역서가 있다. davidmil@hanmail.net


정규식 鄭圭植, Chung, Ku-sik

동아대학교 인문과학대학 한국어문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 고전문학을 전공하면서 설화와 소설을 통해 서사의 본질, 인간과 동물의 관계 등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현재 동남어문학회 편집위원장, 한국문학회·한국어문학회 편집위원, 한국구비문학회 연구이사 등을 맡고 있으며 부산광역시 문화재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고소설의 주인공론』(공저, 2014),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 8-20~22(부산광역시①~③)』(2015),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 8- 23~25(경상남도 남해군①~③)』(2016), 『종간공동체론』(2017), 『한국 고전문학과 동물성』(2017), 『한국고소설강의』(공저, 2019),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 8- 27~28(경상남도 산청군①~②)』(2020) 등이 있다.sanchung2@hanmail.net


한만수 韓萬洙, Han Man-soo

동국대 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인문학협동조합 이사장, 한국어문학연구학회 회장, 동국대 한국문학연구소장, 순천대 교수, 경향신문 기자 등을 역임했다. 한국현대문학을 전공했으며, 문학검열, 문학과 자본 등에 관심을 가져왔다. 『삶 속의 문학, 독자 속의 비평』(나남), 『태백산맥 문학기행』(해냄), 『잠시 검열이 있겠습니다』(개마고원), 『허용된 불온-식민지 시기 검열과 한국문학』(소명출판) 등 저서가 있다.hanms58@hanmail.net


이경훈 李京塤, Lee Kyung-hoon

연세대 국문학과 명예교수이다. 도쿄외국어대학 연구원을 역임했으며 주요 저서로 『오빠의 탄생-한국 근대 문학의 풍속사』(문학과지성사), 평론집 『대합실의 추억』(문학동네), 『기억 망각 그리고 상상력』(연세대 대학출판문화원), 『역사의 일요일, 역사 이후의 일요일』(소명출판) 등이 있다.  


황호덕 黄鎬德, Hwang Ho-duk

성균관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대학원과 도쿄대학 총합문화연구과에서 공부했고 조사이국제대학, 캘리포니아주립대학 어바인교, 프린스턴대학에서 가르치거나 연구했다. 지은 책으로 『벌레와 제국』, 『프랑켄 마르크스』, 『근대 네이션과 그 표상들』, 『개념과 역사, 근대 한국의 이중어사전』(전2권, 공저) 옮긴 책으로 『근대어의 탄생과 한문-한문맥과 근대일본』, 『미주의 인상』(이상, 공역) 등이 있다. 현대비평과 비교문학을 가르친다. 


김철 金哲, Kim Chul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한국 현대문학 전공. 식민지 시대 소설을 통해 근대민족주의와 식민주의에 관한 연구를 해 왔다. 저서로는 『‘국문학’을 넘어서』, 『‘국민’이라는 노예』, 『복화술사들』, 『바로잡은 ‘무정’』, 『식민지를 안고서』, 『우리를 지키는 더러운 것들』 등이 있고, 『문학 속의 파시즘』,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 등을 공저했다. 『언더우드 부인의 조선 견문록』, 『조선인 강제연행』, 『비구니 승가 설립의 역사』 등을 번역했다.kcul@yonsei.ac.kr


오성호 吳聖鎬, Oh Seong-ho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2022년 2월 퇴직했다. 한국 현대시를 전공했으며 북한 시 등에 대해 관심을 가져왔다. 『낯익은 시 낯설게 읽기』(이학사), 『북한 시의 사적 전개과정』(도서출판 경진), 『백석 시 꼼꼼하게 읽기』(도서출판 경진) 등의 저서가 있음. osh57@hanmail.net 


정기석 鄭基碩, Jeong Gi-seok

2018년 중앙신인문학상 수상으로 문학평론을 시작하였다. 동국대 국어국문학과에서 「1980년 한국 시에 나타난 비인간 형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김건형 金建亨, Kim Keon-hyung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현대문학) 및 동 대학원 박사 수료. 2018년 문학동네신인상을 수상하며 평론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현재 서울예술대학교, 한국공학대학교 등에 출강하고 있으며, 계간 『문학동네』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 현대문학의 정치미학, 퀴어 페미니즘 문학/문화, 대중문화 현상에 관심을 두고 공부하고 있다.konovel@naver.com 


이지용 李知容, Lee Ji-yong

중앙대학교 인문컨텐츠연구소 HK연구교수. SF연구자와 문화평론가로, SF를 비롯한 미디어 콘텐츠의 평론활동을 하고 있다. 『한국 SF 장르의 형성』(커뮤니케이션북스)를 저술했고, 『비주류선언』(요다), 『인공지능이 사회를 만나면』(필로소픽), 『블레이드러너 깊이 읽기』(프시케의 숲) 등의 저서들을 공저했다. lipsenjy@gmail.com

TOP